난게탄티 지나 고레파니 가는 길
-네팔 안나푸르나 힐레~고레파니 트랙-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2015.10.30~2015.11.9 (10박 11일) 혜초여행사
Day-3 11월 1일(일)
힐레-울레리-반단티-난게탄티-고레파니
-10박 11일 일정- 제1일(금)-인천-카트만두 (투숙) 제2일(토)-카트만두-포카라-나야풀-힐레 (투숙) 제3일(일)-힐레-울레리-반탄티-난게탄티~고레파니 (투숙) 제4일(월)-고레파니-푼힐-데우랄리-반탄티-타다파니~추일레 (투숙) 제5일(화)-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투숙) 제6일(수)-시누와-밤부-도반-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 (투숙) 제7일(목)-데우랄리-M.B.C-A.B.C (투숙) 제8일(금)-A.B.C-M.B.C-데우랄리-히말라야롯지-도반 (투숙) 제9일(토)-도반-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투숙) 제10일(일)-지누단다-뉴브릿지-큐미-시와이-나야풀-포카라-카트만두 (투숙) 제11일(월)-카트만두-하노이-인천 |
안나푸르나 (Annapurna) 네팔의 히말라야 중부에 있는 연봉(連峰)으로 높이 8,091m 서쪽으로부터 제1봉(8,091m) ·제3봉(7,555m) ·제4봉(7,525m) ·제2봉(7,937m)의 순서로 이어지며, 제3봉의 남쪽에는 마차푸차레(6,997m)의 아름다운 첨봉이 파생되어 있다. 산 이름은 ‘수확의 여신’이라는 뜻으로, 동쪽은 마르얀디 계곡을 사이에 두고 마나슬루산군(山群)과 마주하며 서쪽은 칼리간다크를 사이에 두고 다울라기리와 마주한다. 제1봉은 1950년 6월 3일 프랑스 에르조그 등반대가 처음으로 등정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8,000m급의 정복이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히말라야 등산 붐의 출발이었다. 제2봉은 1960년 5월 17일 영국 ·네팔 공동 팀인 로버츠 등반대가 등정하였고, 제3봉은 1961년 인도의 코리 등반대, 제4봉은 55년 5월 30일 독일의 슈타인메츠 등반대가 각각 등정에 성공하였다. [히말라야 8,000m 14좌] 1 에베레스트 (Everest) 8,848 2 케이투(K2) 8,611 3 칸첸중가 (Kānchenjunga) 8,603 4 로체 (Lhotse) 8,516 5 마칼루 (Makalu) 8,463 6 초오유 (Cho Oyu) 8,201 7 다울라기리 1봉 (Dhaulagiri I) 8,167 8 마나슬루 (Manaslu) 8,163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5 10 안나푸르나 1봉 (Annapurna I) 8,091 11 가셔브룸 1봉 (Rgasha Brum I) 8,068 12 브로드피크 (Broad Peak) 8,047 13 시샤팡마 (Shishapangma) 8,0465 14 가셔브룸 2봉 (Rgasha Brum Ⅱ) 8,035 |
오늘은 트레킹 시작일로 힐레(1,470m)~팅게둥가(1,540m)~울레리(1,960m)~반단티(2,210m)~난게탄티(2,520m)~고레파니(2.860m)까지 가는 다소 빡센 코스이다. (특히 울레리 오름길이 힘듦) 오룩스맵 측정 거리는 11.1km 였다.
힐레~고레파니 트레킹궤적
카고백을 묶는 포터들
방수커버로 씌운 후 묶은 줄을 이마에 대고 허리에 받쳐 일어서는 것이다. 일인당 두 개씩(약 30kg 남짓)을 묶어 운반하는데 개중에는 여자 포터도 있었다. 저렇게 해서 번 하루 일당이 2만원이 채 안 되고 그나마 일이 없어서 탈이라고 한다.
어젯밤 21시경 자리에 들어 목이 말라 00시 10분에 한 번 다시 04시에 잠이 깨여 한참을 뒤척거리다가 다시 잠이 들어 05시 40분에 일어났다. (모닝콜은 06시였지만 모두 일찍 기상함) 일어나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이 카고백을 정리하여 밖에 내 놓는 일이다. 그래야 포터들이 먼저 출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동안 포터들 작업을 구경하는데 갑자기 방울소리가 나더니 한 무리의 당나귀 행렬이 지나간다. 자연히 시선은 그쪽으로 쏠린다.
07시 48분. 트레킹 시작이다.
08시 15분. 팅게퉁가 지나 첫 출렁다리에서..
팅게퉁가를 지나 울레리 가는 길은 된비알 오르막길이다. 08시 30분. 첫 번째 쉼터에서 약 10분간 쉬었다 간다. 쉼터에서는 지나온 팅게퉁가마을과 힐레마을이 보이고
08시 48분. 다시 오르막길을 이어간다. 왼편으로 추모탑(?)이 보인다.
09시. 다시 두 번째 쉼터에서 약 10분간 쉬었다 간다. 두 번째 쉼터를 지나면 안나푸르나 남봉이 살짝 머리를 내민다.
바로 이렇게.. 약 오르지롱 ^^
09시 20분. '안나푸르나 뷰' 라는 전망대다. 오룩스맵 고도를 보니 1,806m 를 가리킨다.
뷰 포인터에서 바라본 안나푸르나 남봉
조금 전과 오십보백보다. 뷰 포인터에서도 약 10분 동안 쉬었다 간다.
09시 37분. 울레리 가는 길은 된비알 오르막길이지만 안나푸르나 남봉을 바라보면 힘든줄 모르고 오를 수 있다. 앞서 가는 이는 가이드 이상혁군(27세)이다.
아버님이 산악인이라 어머님이 네팔에서 '정원'이라는 한식당을 경영하고 계셨는데 마지막 날 저녁 (11월 8일) 방문하여 그 맛을 보았다. 한마디로 추천맛집이었다.
09시 52분. 울레리 오르막길에서 뒤돌아본 아내의 모습이다. 힘들지만 묵묵히 잘 따라 올라오고 있다. 고진감래를 기대하며..
10시 09분. 울레리 마을 입구에서 바라본 안나푸르나 남봉과 히운출리
10시 11분. 울레리마을에서 본 안나푸르나 남봉과 히운출리 왼쪽 사진을 찍는 이는 제천에서 오신 김동구씨로 가장 막내다.
이어지는 울레리마을 오르막길, 설산만 없다면 평범한 한국의 시골길이다.
그네를 타는 울레리 마을 아이들, 그네를 희한하게 잘 만들었다. 노는데 신경을 쓰는지 우리를 봐도 소 닭 보듯 한다.
두 사람이 무슨 이야기를 나누는 걸까?
저기 보이는 울레리 쉼터에서 쉬었다 간다. 쉼터 이름은 'Purnima Guest House & Restaurant'
울레리 마을 푸르니마 쉼터에서..
이곳에서 10시 25분~10시 55분 (30분간) 쉬었다 간다. 가이드들이 서빙하는 민트찌아(민트향기가 나는 차) 한 잔 마시며..
11시 15분. 반단티 가는 길에서 뒤돌아본 울레리마을이다.
우리 혜초 카고백을 메고 가는 포터의 모습이 포착되었다. 약 30kg이 넘는 무거운 짐을 지고도 우리보다 더 빨리 걷는다. 보기에는 안쓰럽지만 그렇게 생각하면 안 된다. 신성한 노동의 대가를 받는 엄연한 직업이다. 이 세상에 육체노동만큼 신성한 직업은 없다.
11시 35분~12시 55분 동안 무려 1시간 20분 동안 점심을 먹으며 쉬었던 반단티 쉼터
처음에는 이렇게 오랜 휴식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차차 하다보니 이해가 되었다. 우리 일행이 도착하자마자 가이드들이 망고쥬스를 서빙한다. 그리고 우리의 식사가 끝나야 그들(가이드팀과 쿡팀)의 식사가 이루어진다.
그 후 설거지 등을 하면 1시간이라는 시간은 그리 많은 시간이 아닌 것이다. 이곳에서 비빔밥으로 점심을 먹었다. 혜초 히말라야 트레킹은 먹는 것 하나만큼은 여기가 네팔인지 한국인지 모를 정도로 한식 위주로 해준다. 주방장이 귀신 같이 맛을 낸다.
포터들이 짐을 내리고 쉬는 장소에 앉은 아내, 표정을 보니 컨디션이 좋은가 보다. ^^
시간이 남아돌아 렌즈를 백마로 갈아끼우고 주위 꽃촬영에 나섰다.
한국에서는 낙엽이 떨어지는 늦가을인데 이곳에는 매미가 울고 벚꽃도 피어있다.
13시 02분. 오랜 휴식을 취한 후 다시 난게탄티로 향한다. 보이는 민둥산은 내일 우리가 지나갈 '데우랄리 힐' 로 추정된다. 이곳은 3,000m이하 산은 힐로 통한다. 고로 백두산도 힐에 속한다.
반단티 지나 난게탄티 가는 길에 피어있는 야생화
이 야생화는 현재 안나푸르나 전역에서 가장 많이 분포된 야생화인데 그 생김새가 미역취를 많이 닮았다. 하지만 사이즈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크다.
반단티 지나 난게탄티 가는 길은 계곡으로 이어지는데 나무에 붙은 이끼가 이곳이 아열대 지역임을 말해주고 있다. 어느 분은 안나푸르나 하면 눈 덮인 히말라야만 상상하다가 이렇게 더울 줄 몰랐다며 웃음을 지었다. 고로 복장은 여름 복장을 하며 걷는 것이 맞다. 나는 가짜 아크테릭스 반팔티를 입고 오르는 중이다.
데우랄리계곡(가칭)에서 쏟아져 내리는 계곡수로 이곳은 매우 서늘하다. 소폭도 보이고 계곡물 소리를 들으며 오르는 시원한 길이다.
다리를 건너 다시 계곡을 좌로 두고 오름길이 이어지고
된비알 오르막길도 이어진다.
뒤돌아 보는 이는 전주에서 오신 조경래씨이다.
14시 35분. 커다란 이층집이 눈에 띠는 난게탄티 쉼터 'Hungry Eye Restaurant' 에 도착한다.
이곳의 주인은 영어를 곧잘 말했는데 박동진씨와 몇 마디 주고받는 것 같았다. 건물 안을 보니 거의 폐허로 변했고 좌측 일부분만을 쓰고 있는 상태다. 건물은 보통 건물이 아닌 것 같은데 이곳에서 5~6분 정도 더 걸어가면 몇몇 가구가 모여 사는 난게탄티 마을이 나온다.
14시 43분. 오룩스맵 고도가 2,517m 를 가리키는 난게탄티 마을이다.
이곳에 도착하니 가이드들이 생강차를 서빙한다. 따뜻한 생강차를 마시며 15시 15분까지 느긋하게 휴식을 취한다. 이번 코스에서 고전한 두 분이 계셨는데 한 분은 NO.1 이신 이문수님이고 또 한 분은 대구 이중희님의 부인이신 손여사님이다.
아까 올라올 때 힘들어 하시기에 배낭(이문수님)을 들어보니 내 배낭보다 훨씬 무거웠다. 이곳에서는 무겁게 짊어질 이유가 없는데 뭘 넣었을까? 암튼 이 후 배낭은 가이드에게 인계하고 가볍게 올라 오시는 모양인데도 최종 도착지에선 약 1시간 정도 차이가 났다.
15시 41분. 난게탄티 지나 고레파니 가는 길은 마치 뉴질랜드 밀포드 트렉 같다.
금방이라도 아바타들이 튀어나올 것 같은 길이 이어지고..
나무에 기생하는 일엽초와 이끼가 눈에 들어온다.
고레파니 마을 입구에서 한무리의 말들과 만났다. 고삐도 없고 임자 없는 말들의 뒤태가 아름답다.
우리가 지나가니 말들도 덩달아 따라 걸어간다. 마치 우리를 따라 가는 듯이..
16시 24분. 고레파니 마을로 먼저 입성하는 말떼들 (스스로 알아서 걸어가는 것이 신기하다) 우리의 숙소까지는 여기서 20분을 더 올라가야 한다.
이 지점은 고레파니 고갯길로 안부 사거리인 셈이다.
좌측은 '푼힐' 우측은 '데우랄리' 직진은 '타토파니' 가는 길이다. 우리의 숙소는 이곳에서 직진하여 조금 내려가면 만난다.
16시 44분. 골인지점인 '호텔 투크체 피크 뷰' 라는 고레파니 롯지에 도착한다.
'호텔 투크체 피크 뷰' 15실
하지만 호텔은 무슨 얼어죽을.. 롯지 중에 최악의 밝기라 (방에는 25W 전구 두 개가 있었는데 그나마 하나는 전구가 터짐) 너무나 어두컴컴해서 가져간 손전등을 켜야 겨우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주인을 불러 전구를 갈까 하다가 이것도 좋은 추억일 것 같아 그만 두었다.
고레파니 숙소에서 밧데리 충전시키고(100루피) 샤워를 하려고 하니 가이드 샤히가 만류한다. 고도가 높아 샤워를 하면 자칫 고소가 올 수 있으니 다음날 고도가 낮은 추일레에서 하라고 한다. 그래서 얼굴만 씻고 냉수마찰로 때운다.
날씨가 서늘해서 그런지 땀냄새는 별로 안 났다. 두꺼운 겨울옷으로 갈아입고 미리 내일 푼힐 오를 때 입을 옷가지들을 배낭에 챙겨 두었다. (비니, 오리털조끼. 오리털파카)
18시 30분~19시 10분 닭백숙과 튀김으로 저녁식사를 했다. 후식으로 파인애플에다가 커피까지 마시고 15호실로 돌아왔다.
어제도 그랬지만 저녁 먹고 나면 도통 할 일이 없다.
별 수 없이 21시 30분. 잠자리에 들었다.
내일은 꼭두새벽에 일어나야 한다.
10박 11일 동안의
네팔 안나푸르나 트레킹
제2부를 정리하면서..
'해외 트래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4부 (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0) | 2015.11.18 |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3부 (고레파니~푼힐~데우랄리~반단티~타다파니~추일레) (0) | 2015.11.17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1부 (인천공항~카트만두~힐레) (0) | 2015.11.15 |
유럽 알프스 3대 미봉 트레킹 제8부 (몽땅베르 트레킹) (0) | 2015.08.22 |
유럽 알프스 3대 미봉 트레킹 제7부 (락블랑 트레킹) (0) | 201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