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내림이 내리고 있는 추일레 내림길
-네팔 안나푸르나 추일레~촘롱~시누아 트랙-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 베이스캠프]
2015.10.30~2015.11.9 (10박 11일) 혜초여행사
Day-5 11월 3일(화)
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10박 11일 일정- 제1일(금)-인천-카트만두 (투숙) 제2일(토)-카트만두-포카라-나야풀-힐레 (투숙) 제3일(일)-힐레-울레리-반탄티-난게탄티~고레파니 (투숙) 제4일(월)-고레파니-푼힐-데우랄리-반탄티-타다파니~추일레 (투숙) 제5일(화)-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투숙) 제6일(수)-시누와-밤부-도반-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 (투숙) 제7일(목)-데우랄리-M.B.C-A.B.C (투숙) 제8일(금)-A.B.C-M.B.C-데우랄리-히말라야롯지-도반 (투숙) 제9일(토)-도반-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투숙) 제10일(일)-지누단다-뉴브릿지-큐미-시와이-나야풀-포카라-카트만두 (투숙) 제11일(월)-카트만두-하노이-인천 |
안나푸르나 (Annapurna) 네팔의 히말라야 중부에 있는 연봉(連峰)으로 높이 8,091m 서쪽으로부터 제1봉(8,091m) ·제3봉(7,555m) ·제4봉(7,525m) ·제2봉(7,937m)의 순서로 이어지며, 제3봉의 남쪽에는 마차푸차레(6,997m)의 아름다운 첨봉이 파생되어 있다. 산 이름은 ‘수확의 여신’이라는 뜻으로, 동쪽은 마르얀디 계곡을 사이에 두고 마나슬루산군(山群)과 마주하며 서쪽은 칼리간다크를 사이에 두고 다울라기리와 마주한다. 제1봉은 1950년 6월 3일 프랑스 에르조그 등반대가 처음으로 등정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8,000m급의 정복이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히말라야 등산 붐의 출발이었다. 제2봉은 1960년 5월 17일 영국 ·네팔 공동 팀인 로버츠 등반대가 등정하였고, 제3봉은 1961년 인도의 코리 등반대, 제4봉은 55년 5월 30일 독일의 슈타인메츠 등반대가 각각 등정에 성공하였다. [히말라야 8,000m 14좌] 1 에베레스트 (Everest) 8,848 2 케이투(K2) 8,611 3 칸첸중가 (Kānchenjunga) 8,603 4 로체 (Lhotse) 8,516 5 마칼루 (Makalu) 8,463 6 초오유 (Cho Oyu) 8,201 7 다울라기리 1봉 (Dhaulagiri I) 8,167 8 마나슬루 (Manaslu) 8,163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5 10 안나푸르나 1봉 (Annapurna I) 8,091 11 가셔브룸 1봉 (Rgasha Brum I) 8,068 12 브로드피크 (Broad Peak) 8,047 13 시샤팡마 (Shishapangma) 8,0465 14 가셔브룸 2봉 (Rgasha Brum Ⅱ) 8,035 |
[트레킹 3일차 일정]
추일레에서 시프롱을 경유 쏟아져 내려와 출렁다리에서 다시 오르막길로 올라 구르중으로 오른 다음 두 번째 출렁다리를 건너고 잠시 평탄한 길을 가다가 다시 오르막길로 올라 두루빈단다 마을의 'Hill-Top' 전망롯지와 촘롱마을의 'Heaven View' 전망롯지를 경유하여 촘롱에 도착, 촘롱에서 계단 길로 내려와 출렁다리에서 다시 된비알 오르막길로 올라 아래 시누아~윗시누아 순으로 진행하는 데꾸보꾸 코스다. 오룩스맵 거리는 11.76km
추일레~시누와 트레킹궤적
추일레 롯지 마당에서 바라본 '마차푸차레' 다.
어젯밤 21경 잠자리에 들어 03시와 04시 50분에 일어나 하늘을 보니 하늘에는 달과 별이 총총히 빛나고 있었다. 하지만 06시 경에는 구름이 낮게 깔려 있는 것이 일기예보대로 비가 내릴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정대로 6시 30분에 아침을 먹고 7시 30분부터 트레킹 시작이다.
07시 32분. 비 대신 아름다운 빛내림이 내리고 있는 추일레 내림길의 모습이 무척 아름답다.
비탈진 산자락에 촘촘하게 조성된 다랑논이 보이고 맨 앞에 보이는 운동장이 있는 건물은 학교이며 산자락 집단촌이 보이는 곳이 구르중마을이다.
킴롱마을의 빛내림이 아름답다.
킴롱콜라와 킴롱마을
빛내림이 너무 밝아 사진에는 안 보이지만 11시 방향으로 분명히 마차푸차레가 있다.
추일레 내림길에서는 폭포도 보인다.
빛내림이 내리고 있는 다랑논과 킴롱콜라의 풍경은 한 폭의 그림이다. 다랑논은 우리네 논처럼 논둑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작은 땅이라도 아끼려는 것일까?
내리막길에서 올려다본 추일레, 추일레 롯지는 보이지도 않는다.
8시 13분. 추일레에서 줄 곳 내리막길로 쏟아져 내려와 시프롱마을에 도착했다.
현 위치가 시프롱마을 임을 가르쳐 주는 안내판 이다.
시프롱 마을의 아이들이다. 공부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았나 싶다. 나의 억센 경상도 말투에 약간 주눅이 든 아이들 표정이 재미있다. 옆에 함께 서있는 아낙도 마찬가지다. 사진을 촬영한 후 초콜릿을 주었는데 잘한 행동은 아니었다.
이곳의 아이들은 이를 안 닦기 때문에 초콜릿을 주면 이가 금방 썩으므로 되도록이면 주지 말라는 외신의 권고가 있었다고 박동진님이 말씀하신다. 하지만 아무것도 안 주자니 마음이 짠해서 안 되었다. 우리도 어릴 적 미군들에게 기브미 초콜릿, 기브미 껌 하던 시절이 있었지 않았나.
시프롱 마을 지나 출렁다리를 건너는 일행들의 모습이다.
다리 앞에만 서면 왜 사진을 찍고 싶을까?
내려왔으니 다시 올라가야 한다.
뒤돌아 본 추일레, 추일레 롯지는 가장 높은 산만디에 있다.
8시 50분~9시 5분 배구코트가 보이는 초등학교 운동장에서 잠시 숨을 돌린다.
초등학교를 지나 조밭인지 수수밭인지 밭을 지나 이제는 편한한 길을 걸어간다. 9시 20분, 아이가 뛰어나와 "나마스테 캔디" 하며 손을 내미는 구르중마을에 도착하고
구르중마을 지나니 두 번째 출렁다리가 보인다. 이 출렁다리는 떨어졌다가 오르는 그런 출렁다리는 아니다.
두 번째 출렁다리를 건넌다. (다리 중간에서 학교 가는 초등학생과 마주친다)
출렁다리 지나 바라본 구르중(Ghurjung)마을
눈을 부라려 쳐다보면 어젯밤 우리가 잤던 추일레 롯지가 보인다. 저 멀리 빨간 지붕과 푸른 지붕이 보이는 집에서 좌측 10시방향의 집이 추일레 롯지다.
9시 30분. 킴롱힐이 바라다 보이는 전망롯지에서 티타임(오렌지쥬스)을 가지며 30분간 쉬었다 간다. 움푹 꺼진 안부에 안테나 보이는 건물을 '라라' 라고 현지 가이드 샤히가 말했다.
티타임 시간에 네팔 전통 지갑겸 보자기인 '방그라' 를 선뵈는 샤히
기다란 천을 묶어 한 번, 두 번 팔을 비틀어 끼우니 이런 모습인데 이곳에다가 돈이며 장거리를 보관하는 주머니로 사용한다고 한다. 가격은 한화로 2만원 가량 한다고 한다. 먼저 김철민님께서 100루피를 넣어 주어 나도 덩달아 100루피를 넣어주니 보자기 주인의 얼굴에 화색이 돈다.
10시 04분. 뒤돌아 본 전망롯지~구르중마을 그리고 저 멀리 추일레마을
다시 오르막길이 이어지는데 맨 후미에 이문수 큰형님이 계시니 왠지 마음이 든든하다. ^^
그래서 백마로 갈아 끼우고 야생화 사냥에 나선다. 오르막길에서는 더덕꽃도 보인다.
제일 많이 보이는 아인데 이름을 모르니..
물봉선인데 우리나라 물봉선 보다 못 생겼다. 노랑물봉선도 보였으나 너무 못 생겨 휴지통에 버렸다.
얘도 첫날에 본 아인데..??
분꽃 같이 생긴 아인데..??
10시 55분. 촘롱 롯지 가는 중간에 위치한 두르빈 단다(Durbin Danda) 마을의 'Hill-Top' 전망 롯지에 바라본 촘롱 롯지 (제일 높은 곳)
두르빈 단다(Durbin Danda) 마을의 'Hill-Top' 전망 롯지에서 10시 55분~11시 12분 까지 쉬었다 간다.
두르빈 단다에서 촘롱가는 길
비탈진 산자락에 촘촘하게 조성된 다랑논은 네팔인의 끈질긴 생활력을 대변하고 있는 듯 하다.
저 산사태 지역은 해마다 우기가 되면 산사태가 일어난다고 샤히가 말한다. 그 옆 비탈진 산자락에도 어김없이 다랑논이 촘촘하게 조성되어 있다.
11시 55분. 촘롱 롯지에 도착하다.
맨 우측 여인이 이집 안주인이고 밤색 옷을 입은 처녀가 그의 딸이다. 나이는 사십대 중반으로 들었다. 네팔은 여자가 결혼을 하면 남편의 성으로 바꾼단다. 네팔 오는 비행기 옆자리에 탔던 '렉미수만'이라는 젊은이(30세) 말로는
'네팔에는 먹을 것은 많은데 돈과 공장이 없다.'고 했다. 하지만 돈이 없어도 결혼을 할 수 있다고 해서 돈이 없으면 결혼을 할 수없는 한국과 비교가 되었다. 가난한 네팔인의 삶의 만족도가 부유한 한국인 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이 놀랍지 아니한가!
촘롱 롯지 2층에서 내려다 본 모습
이 롯지는 일망무제의 조망이 펼쳐지는 롯지다. 나중에 지누단다로 하산할 때도 이 롯지를 이용했다. 얼마나 뷰가 좋기에 롯지 이름을 'Heaven View" 라고 했을까 암튼 이곳에서 네팔 전통음식인 달밧(카레밥과 감자)으로 점심을 먹고 무려 1시간 20분 동안 머물다가
13시 15분. 다시 트레킹을 재개한다. 한국어 안내판이 보이는 촘롱의 한 식당이 눈에 들어온다.
이곳 촘롱(Chhomrong)은 안나푸르나 지구에서 두 번째로 큰 마을이라고 하며 가장 큰 마을은 간드룩(Ghanruk)이라고 한다.
촘롱에서 바라본 시누아
옹기종기 집이 모여있는 곳이 아래 시누아이고 멀리 높은 곳이 윗 시누아이다. 아래 시누아에서 윗시누아까지는 제법 올라가야 한다. 이곳에 바라보면 그리 멀어 보이지 않지만 실상은 크게 한 번 떨어졌다가 계곡(출렁다리)에서 다시 된비알 치고 올라가야 하는 힘든 구간이다.
촘롱 돌계단 내리막길
돌계단의 총 숫자가 3,000개에 달한다고 한다.
큰 마을이라 그런지 피자집도 보인다. 누군가가 이집에서 피자를 시켜 먹었다고 한다.
촘롱 내림길에서..
출렁다리가 보인다.
출렁다리와 다시 올라야할 길
정말 거짓말 안 보태고 산을 다 내려왔다. 출렁다리에서 오룩스맵 고도를 보니 1,888m를 가리켰다. 촘롱이 2,170m 이니 무려 282m나 하강한 것, 다시 시누아(2,360m)까지는 고도 472m를 올려야 한다.
오름길에서 뒤돌아본 출렁다리
뒤돌아 본 위 촘롱마을과 아래 촘롱마을
14시 45분. 출렁다리 지나 시누아 가는 길의 전망롯지에서 바라본 촘롱
출렁다리 지나 시누아 가는 길의 전망롯지에서 약 15분간 쉬었다 간다. 14시 45분~15시
전망롯지 지나 시누아 가는 길
(아내 옆에 보이는 모금함에 소액을 기부했다)
뒤돌아 본 전망롯지와 멀리 촘롱마을
15시 17분. 아래 시누아에 도착했다.
평상 같은데서 놀이를 하는 청년 셋이 보이는데 모서리에 구멍이 난 네모난 판에 밀가루 같은 것을 뿌리고 그 위에서 바둑알(흑, 백, 빨간색은 단 한 개) 여러 개를 놓고 손으로 퉁겨 맞혀 모서리 구멍에 넣는 한국식 알까기를 하고 있다.
아래 시누아에서 내려다본 첩첩산중
15시 52분. 위 시누아 오르막길에서 만난 네팔인들
우리 쿡팀인줄 기념촬영을 했는데 알고 보니 다른 팀이었다. 아내 옆에 앉은 이는 가이드 '빔'으로 샤히 다음으로 한국말을 잘했다. 위 시누아 된비알 오름길에서 오른쪽 장갑 하나를 흘리는 손재수를 당했다.
16시. 골인 지점인 위 시누아에 도착했다.
그런데 가이드 이상혁씨 말로는 방이 모자라 한방에 3명~4명을 써야 한다며 여자는 여자끼리 남자는 남자끼리 자라고 한다. 그래서 4번방 3인실을 대구의 이중희님과 임실의 황의민님과 함께 써게 되었는데 나중에 보니 돈만 내면 다른 롯지로 옮길 수 있어 (이 롯지는 벽에 칠한 페인트가 옷에 묻어 몇몇이 다른 롯지로 옮겼다고 한다.)
우리도 숙소를 옮겨달라고 했다. 물론 방값으로 따로 2,000루피를 지불했다.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지만 올라올수록 방값이 비싸서 생긴 현상 같았다. 처음 힐레 숙소의 방값은 누가 말했는데 200루피 밖에 안 한다고 했다. 그러거나 말거나 남자 셋이서 자는 것 보다 아내와 함께 자는 것이 2,000루피(2만원 남짓)를 내도 속편해서 좋다.
피신한 다른 롯지 2층 6호실 (롯지의 시설은 최악이었지만 속은 편했다)
18시 30분~19시 까지 닭도리탕과 닭튀김으로 저녁을 먹은 후 (시누아 이후는 라마신께서 금지 하기 때문에 육고기를 먹을 수 없다고 한다.) 롯지에서 좀 쉬었다가 가려고 했는데 비가 내리는 바람에 서둘러 숙소로 돌아왔다.
안나푸르나에서의 일상은 낮은 행복했고 밤은 불편했다. 밤에는 할일이 없으니 너무 길었다. 일기예보는 오늘 비가 온다고 했지만 다행히도 비는 내리지 않았고 고맙게도 밤에 내렸다.
나의 바람대로. ^^
10박 11일 동안의
네팔 안나푸르나 트레킹
제4부를 정리하면서..
'해외 트래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6부 (데우랄리~M.B.C~A.B.C)| (0) | 2015.11.20 |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5부 (시누아~밤부~도반~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 (0) | 2015.11.19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3부 (고레파니~푼힐~데우랄리~반단티~타다파니~추일레) (0) | 2015.11.17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2부 (힐레~울레리~반단티~난게탄티~고레파니) (0) | 2015.11.16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1부 (인천공항~카트만두~힐레) (0) | 201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