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세미티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계곡과 멀리 하프돔
미서부 일주 3대 캐넌
2014.06.15~2014.6.22 (5박 8일) 하나투어
Day-2 6월 16일(월)
(샌프란시스코~요세미티~프레즈노)
5박 8일 일정표 제1일(일)-인천공항-샌프란시스코 시내관광 (투숙) 제2일(월)-샌프란시스코-요세미티-프레즈노 이동 (투숙) 제3일(화)-프레즈노-바스토우(은광산)-라스베가스 이동 (투숙) 제4일(수)-라스베가스-브라이스캐넌-자이언캐넌-라스베가스 (투숙) 제5일(목)-라스베가스-그랜드캐넌-라플린 이동 (투숙) 제6일(금)-라플린-로스엔젤레스 이동 시내관광-비행기 탑승 제7일(토)-날짜변경선 통과 (비행기에서 조식과 중식) 제8일(일)-인천공항 도착 (04:40) |
이번 여행의 전체 코스
1일(日)-인천공항-샌프란시스코(1박)
2일(月)-샌프란시스코-요세미티-프레즈노(1박)
3일(火)-프레즈노-바스토우-라스베가스(1박)
4일(水)-라스베가스-브라이스, 자이언캐넌-라스베가스(1박)
5일(木)-라스베가스-그랜드캐넌-라플린(1박)
6일(金)-라플린-바스토우-로스엔젤레스
7일8일 (土,日)-로스엔젤레스-인천공항
2일차 이동경로
오클랜드와 산호세 중간 정도에 위치한 Hilton 호텔에서 출발Merced~Mariposa~Yosermite~Oakhurst~Fresno 까지의 경로
힐턴호텔 창가에서 바라본 프리웨이(고속도로)
어젯밤, 마침 가져온 치약이 있었기에 양치질과 샤워를 마치고 시차 때문인지 곧 곯아떨어졌다. 하지만 아내는 시차 적응이 잘 안되는지 잠을 이루지 못하다가 한참 후에야 잤다고 말했다.
밤 9시에 자서 잠을 깨니 새벽 03시 32분이다. 이때 아내는 자고 있었다. 잠에서 깨어나 한참동안 잠을 이루지 못하고 뒤척이다가 다시 5시 경에 잠이 들었는데 6시 알람이 울어 일어났다. 아침 미팅 시간(7시)이 조금 남아 산책하러 밖으로 나왔다.
먼저 힐턴호텔을 배경으로 기념촬영한 후
이리저리 기웃거렸지만 외곽지대라 그런지 별 볼거리는 없고 캠핑카가 눈에 들어 담았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캠핑카를 사면 차가 아닌 주택으로 쳐 준다고 한다.
그래서 은퇴한 노인들은 도시의 집을 팔고 외곽지대로 이사하여 남은 돈으로 캠핑카를 사서 전국을 유람하는 멋진 인생을 산다고 가이드 李가 말했다. 즉 캠핑카가 많이 보이는 동네는 집값이 비교적 싼 곳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곳은 호텔주차장이니만큼 예외지만..
아침 산책을 마치고 다시 돌아온 힐턴호텔 로비
호텔 로비에 그랜드피아노가 놓여 있는 것이 이색적이며 처음으로 이곳 호텔 뷔페에서 미국인들과 함께 아침식사를 했다. 빵과 소시지, 삶은 계란(검은), 돼지고기, 참치, 요구르트 등등이었는데 특히 참치는 쫄깃쫄깃한 것이 한국의 것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맛있었다.
푸짐하게 따라주는 커피까지 한 잔 마시고 아침식사를 마쳤다. (7시 15분~7시 40분)
아침식사를 마치고 다시 룸(414호)으로 돌아와 창가에서 담은 풍경
보이는 풀장에는 밤새도록 불이 켜져 있었고 이른 아침에 관리인으로 보이는 남자직원 한 분이 뜰채로 가라앉은 나뭇잎 등을 청소하고 있었다. 미국인들 알고 봤더니 한국인 보다 더 부지런한 것 같았다. 호텔보이(?) 역시 이른 아침부터 회전 유리문을 닦고 있었다.
Merced 가는 99번 프리웨이에서 바라본 풍차
(이곳은 바람이 강하게 부는 지역이라 풍차가 많이 보였다.)
8시 40분. 힐턴호텔을 떠나 다시 프리웨이(180번)로 올라탔다. (東→西 이동) 왼쪽 반대편 도로는 샌프란시스코 출근 차량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이어졌다. 상대적으로 우측 도로는 조금은 한산한 셈이지만 그래도 많은 차량이 달렸다.
참고로 짝수는 동서로 횡단하고 홀수는 남북으로 종주하는 도로라고 했다. 얼마나 달렸을까? 어느 지점에서 버스는 오른쪽으로 꺾이면서 (北→南 이동) 99번 프리웨이로 들어섰다. 이때 광활한 캘리포니아 평원이 펼쳐지는데 가이드 李의 해박하고도 장황한 설명이 있었다. 그중 몇 가지만 소개하면
캘리포니아 5대 농산물은
1-아몬드
2-포도
3-건초
4-오렌지
5-쌀이라고 했다.
캘리포니아 평원은 西로는 해안산맥(비교적 낮음)
東으로는 해발 고도 2,000m~4,000m의 높은 시에라네바다산맥에 둘러싸인 분지로 지중해성 기후이며 그 길이가 무려 750km, 폭은 인천에서 원주까지라고 했다.
이런 광활한 평원에서 기계로 농사를 지으니 우리 한국 농가가 게임이 되지 않는 것은 너무나 자명한 이치, 우리가 늘 티비 선전에서 듣고 보았던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며, 아몬드며 하는 농장이 바로 실제 눈앞에서 광활하게 펼쳐졌다.
그리고 캘리포니아 사람들 중 50%는 멕시코 계라고 했다. 너른 목장을 지나 높지 않은 언덕 같은 곳은 농사 대신에 소들과 양때를 키우고 있었다. 소는 3개월만 되면 거세하는데 오히려 성장속도가 느려 2년은 키워야 하지만 육질이 부드럽다고 했다.
오늘의 여담
옛날에는 소꼬리가 무척 쌌는데 요즘은 제법 올랐다고 했다. 그 이유는 꼴뚜기가 뛰면 망둥이도 뛴다고 한국 사람들이 먹으니 멕시코인 들도 덩달아 맛을 들인 모양이다. 그런데 미국소 소꼬리가 한국소 소꼬리 보다 맛이 못하다는 가이드 李의 말을 들으니 그런대로 일리가 있었다.
한국에는 쇠파리가 있지만 미국 특히 캘리포니아에는 곤충이 거의 없다고 했다. 그러니 쇠파리가 없고 쇠파리가 없으니 꼬리를 쓸 일이 없어 늘 꼬리를 축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고 했다. 즉 운동을 하지 않으니 소꼬리 맛이 없다는 것이다. 일리가 있지 않는가! 직접 먹어본 당사자가 말하니 더 신빙성이 있었다.
과연 오크트리(상수리나무) 아래서 쉬고 있는 소들을 보니 꼬리가 아래로 축 늘어져 있었다.
10시 10분. 프리뤠이 99번 도로를 벗어나 국도로 들어서니 Merced 이다. 이곳에서 잠시 쉬었다 가는데 들린 휴게소는 커다란 앵무새들이 보이고 각종 식품을 팔고 있었고 바깥에는 동물농장 까지 보였다. (10시 15분~10시 45분)
휴게소에 심어 놓은 '피스타치오나무'
위 사진속 '피스타치오' 열매
Merced 에서140번 국도를 달려 도착한 Mariposa 라는 마을
이곳 중국식당 풍림찬청(楓林餐廳)에서 중국요리로 점심을 먹었는데 맛이 좋았다. 가이드 李 말로는 서양 사람들 대부분은 도시락이나 샌드위치 하나 싸들고 요세미티 관람을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도시락이나 샌드위치를 싫어하니 이곳에서 식사를 한다고 했다. (당연한 말씀) ^^
이곳 Mariposa 를 지나면 더 이상 음식을 파는 곳은 없다고 했다. 그 이유는 자연공원인 요세미티를 오염시키지 않기 위함이라고 했다. (11시 30분~12시 05분 동안 식사)
Mariposa 지나 요세미티 가는 길
요세미티로 가는 길은 Merced 강을 좌측에 두고 소로로 이어졌다. 오른쪽은 급경사 사면길이 이어지는데 어느 지점에는 산사태로 인해 도로가 끊겨 급조된 다리를 지나 강을 가로질러 에둘러 가는 곳도 보였다.
미국 같이 부자나라에서 고치지 않은 것이 신기했지만 산사태가 진행 중이니만큼 에둘러 가는 것이 현명할 것 같기도 했다. 잠시 차를 세우고 사진을 찍고 싶을 만큼
아름다운 포토포인터 지점이 내 눈에는 여러 곳에 보였지만 무심한 버스는 앞만 달렸다. (이곳에서 버스는 정차를 아무 곳이나 할 수 없다고 했다. 하지만 소형차는 자유로이 정차할 수 있다.)
버스는 우리를 '엘 캐티탄'이 보이는 지점에 내려주었다.
'요세미티'란 인디언 말로 '회색곰' 이라고 했다. 그 사이즈는 우리나라 충청북도 면적이라니 요세미티만 봐도 한 달은 족히 걸릴 것이다. 1984년 유네스코 자연유산에 등록된 이곳은, 미서부 3대 공원중 하나로 1400여종의 식물과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며 이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지금 눈앞에 보이는 엘 캐피탄(El Capitan)이라 한다.
엘 캐피탄을 배경으로
엘 캐피탄은 높이 970m 의 거대한 화강암이 수직으로 솟아있는 지상 최대의 단일 화강암으로 바위꾼들에게는 꿈의 등반루트이기도 하다. 저곳을 등반하려면 최소 3일이 걸린다고 했다. 그러니 저 바위절벽에 매달려 잠도 자야하고 먹어야 하고, 싸기도 하는데 싸는 것은 모두 비닐에 담아 되가지고 와야 한다고 했다.
엘 캐피탄 맞은편에 보이는 단애
그리고 그 오른쪽에 보이는 '면사포 폭포' (Bridalveil Fall 높이 197m)
면사포 폭포를 배경으로 (가이드 李가 찍어 주었다.)
100마로 조금 당긴 면사포 폭포
신부의 면사포를 닮았다는 폭포다. 즉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하여 은은하게 흩뿌려지는 폭포의 모습에서 따온 이름인데 수량이 너무 적어도 안 보이고 너무 많아도 안 보이는데 오늘은 딱 적당한 수량이라 면사포가 제대로 보였다며 가이드 李가 말했다.
다시 차에 올라타기 위해 이동한다. 내 마음 같아서는 계속 걷고 싶은데 어쩔 수 없다.
차를 타고 요세미티 폭포로 향한다.
차창에서 바라본 요세미티 폭포 (Yosemite Fall)
개인적으로 참 안타깝다. 이곳에 내려 담고 싶은데 달리는 차에서 찍으니 제대로 된 사진이 나올 리 만무했다. 더구나 차창도 깨끗하지 않으니 말이다.
다시 버스는 우리를 요세미티 폭포가 보이는 지점에 내려주었다.
백마로 당긴 요세미티 폭포의 상층 폭포
요세미티 폭포는 크게 보면 2단 폭포
작은 폭포까지 치면 3단 폭포였다.
다리 위에서 본 그림처럼 아름다운 계곡과 멀리 하프돔
고무보트를 타고 유유히 계곡을 유영하는 사람들도 보였다. 이렇게 아름다운 계곡에서 힐링을 즐기고 있는 미국인들이 부러웠다.
이 지점에 오니 웬 남녀가 이곳을 배경으로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즉 포인터 지점이라는 이야기다. 그분들은 힘들게 그려야 했지만 나는 손가락 하나 까딱하여 이런 아름다운 그림을 갖게 되었다.
워낙 풍광이 아름다우니 셔터만 누르면 그림 한 장이 저절로 만들어졌다.
요세미티 폭포를 향해 걸어가는 일행들
무얼 저리도 열심히 담으실까? 그 모습이 아름다워 훔쳤다.
백마로 당긴 하프돔(Half Dome)의 위용 (해발 고도 2,695m)
그림처럼 아름다운 풍광에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았다.
대체 이런 아름다움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대자연의 아름다움에 탄식이 절로 나왔다.
차마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아 자꾸만 자꾸만 뒤돌아보았다.
요세미티 공원의 수목 역시 수천 년 역사를 자랑하듯
하늘 높이 치솟아 있었고 나무의 둘레만도 엄청났다.
1961년 11월 14일 케네디 대통령 초청으로 미국을
첫 방문했던 박통께서 오신 곳이 바로 요세미티 공원이었다고 한다.
당시 44세로 동갑이던 케네디와 박통은 두 차례의 정상회담을 열어 동맹국으로서의 상호책임과 우호협력을 다짐하는 한미공동성명서를 발표했고 이곳 요세미티의 수목에 반한(감동한) 박통의 지시로 산림녹화를 시작했다고 한다.
쓰러진 나무와 멀리 요세미티 폭포
요세미티 폭포가 보이는 곳에서 다시 아내를 불러세웠다. 나 역시 가이드가 입을 벌리라고 해서 한 컷 찍혔더니 마치 내가 요세미티 폭포수를 마시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사진이 별로라 실리지는 않았다.
드디어 요세미티 폭포의 하단부에 도착했다. 내 마음 같아서는 너덜 길을 건너 폭포수가 떨어지는 곳까지 걸어가면 좋을 텐데 가이드 李는 이쯤에서 유턴하자고 한다. 참고로 요세미티 폭포는 미국에서 가장 큰 폭포이며 그 높이가 739m로 세계에서 5번째로 높은 폭포이며 지그재그로 된 루트를 통해 올라갈 수 있다고 했다.
다시 140번 도로에서 41번 도로로 빠져나와 '터널뷰'(Tunnel View) 로 올라왔다.
'터널뷰'란 그 말 그대로 터널이 있는 지점의 전망대라는 뜻인데 이곳에서 바라보면 빙하로 침식된 U字로 깎인 요세미티 계곡의 모습이 한 눈에 들어오는 전망대인 것이다.
해설을 듣고 보니 과연 U字 형태의 계곡이다. 대자연의 힘은 이렇게 강력했다. 좌측으로 엘 캐피탄이 멀리 하프돔이 그리고 우측은 ??
이 사진을 끝으로 터널을 통과하여
약 1시간 정도 달리니 요세미티 공원을 빠져나왔고
오후 4시15분. 오크허스트(Oakhurst) 라는 작은 마을에 도착했다.
오크허스트(Oakhurst) 마을의 Raley's 수퍼마켓에서 잠시 쉬었다 갔다. (오후 4시 20분~4시 50분) 미국 비즈니스호텔에는 없는 슬리퍼, 치약 그리고 과일을 좀 샀다. 과일은 흑자두, 자두, 체리, 블랙베리였는데 모두 맛있었다. 참고로 비즈니스호텔이란 고급 호텔을 말함이다.
체리
캘리포니아산 과일이 맛있는 이유는 지중해성 기후로
낮과 밤의 온도 차가 심하고 비가 잘 내리지 않고
당도가 높은 새벽에 수확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블랙베리'라고 처음 먹어보았는데 생긴 것은 복분자처럼 생겼지만 맛은 조금 달랐다. 솔직히 우리나라 복분자가 더 맛있는 것 같았다. 처음에는 조금 거부감이 있었지만 결국은 하나도 남기지 않고 몽땅 먹었다. 생물이라 한국으로 가져올 수는 없다.
다시 광활한 프레즈노 밸리를 1시간쯤 달려
5시 45분. 인구 50만명의 市 프레즈노(Fresno)에 도착했다. 도착하자마자 저녁 먹으러 한국식당 KAYA로 갔다.
한국식당 KAYA의 김치찌개와 돼지주물럭
그리고 가이드 李가 쏜 와인 테이블 당 한 병
김치찌개도 먹을만 했고 돼지주물럭을 싸먹는
배추만큼 큰 상추도 바삭바삭하니 맛있었다. 식후
이곳에서 건과일 쇼핑이 있었는데 우리는 사지 않았다.
저녁을 먹고 도착한 호텔 홀리데이 인 프레스노 로비
저녁 7시경에 517호에 여장을 풀었는데 화장실에 서니 웅~하는 소리가 들려 가이드 李에게 말하니 본인의 방(501호)과 바꾸어 주었다. 아마도 엘리베이터와 가까워서 그런가보다. 객실에서 짐을 정리한 후
아까 수퍼마켓에서 사온 흑자두를 시식한 후
소화도 시킬겸 밖으로 나오니 호텔 건너편에 공원이 보여 그리로 갔다.
공원에 보이는 동상 하나, 누굴까?
당시는 모르고 사진만 찍어 왔는데 유명한 월리엄 사로얀이라는 작가였다.
William Saroyan (1908~1981)
윌리엄 샤로얀은 190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에서 아르메니아계 이민자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세 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 가난으로 인해 그와 동생들은 고아원에 맡겨졌다. 5년 뒤 그의 가족은 다시 모여살 수 있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사로얀은 학업을 이어가기 위해 닥치는 대로 여러 가지 일을 했다. 사로얀이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것은 아버지가 쓴 작품을 보게 되면서부터였다.
주요저서
1934-그네를 탄 용감한 젊은이
1939-[희극] 내 마음은 고원에 (My heart's in the Highlands)
1939-너의 인생의 한 때 (The Time Your Life)
1940-[단편집] 내 이름은 애럼 (My Name is Aram)
1943-인간 희극
1946- 웨슬리 잭슨의 창험(昌驗)
1950-아시리아인 그대에게 말한다.
☆☆☆ Holiday Inn Fresno DownTown 호텔
하지만 공원에는 노숙자들이 많이 보여 자리를 떠야 했다. 프레즈노는 인구 50만 이나 되는 큰 도시라는데 이상하게 시내가 썰렁했다. (사람이 없었다) 위 사진은 공원에서 바라본 우리가 묵을 홀리데이 호텔이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언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모르므로 휑하니 호텔로 돌아왔다. 실제로 한 노숙자가 따라오더니 영어로 원 달러라고 말했다. 1달러 주는 것은 문제가 아닌데 지갑을 꺼내는 순간 낚아챌까봐 노~노~ 하며 말귀를 못 알아먹는 척 하니 그냥 순순히 사라졌다.
밤 8시 경에 객실로 돌아왔다.
미국 호텔방의 특징은..
첫 째 방이 매우 넓다. (12~13평)
둘 째 침대에 베개가 4개 이상이다. (베개가 많아야 고급호텔)
세 째 냉장고가 없는 대신에 얼음 통이 있다. (복도에 얼음 기계가 무료로 제공함)
네 째 화장실 물을 내리면 깜짝 놀란다. (너무나 우렁차게 물이 빠진다.)
다섯 째 슬리퍼와 칫솔 치약은 고급호텔(비즈니스호텔)일수록 없다.
밤 10시 40분. 꿈나라로 들어갔다.
5박 8일 동안의 미서부 여행 둘째 날
샌프란시스코~요세미티~프레즈노 편을 마무리 하면서..
'해외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서부 여행기 (다섯째 날) 라스베가스~그랜드캐넌~라플린 (0) | 2014.06.29 |
---|---|
미서부 여행기 (넷째 날) 라스베가스~브라이스캐넌~자이언캐넌~라스베가스 (0) | 2014.06.28 |
미서부 여행기 (셋째 날) 프레즈노~바스토우~라스베가스 (0) | 2014.06.26 |
미서부 여행기 (첫째 날) 인천공항~샌프란시스코 (0) | 2014.06.24 |
추억의 동유럽여행기 .. (0) | 2014.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