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장가계(張家界)
2015.12.26~12.31 (5박 6일) 온라인투어
Day-2 12월 28일 (화)
(대협곡~황석채~양가계~원가계)
-5박 6일 일정- 제1일(토)-인천-장사 (투숙) 제2일(일)-장사-황룡동굴-장가계 (투숙) 제3일(월)-대협곡-황석채-양가계-원가계-장가계 (투숙) 제4일(화)-보봉호-십리화랑-장가계 (투숙) 제5일(수)-천문산-장사-임시정부 제6일(목)-장사-인천 (기내박) |
[張家界] "사람이 태어나서 장가계에 가보지 않았다면, 100세가 되어도 어찌 늙었다고 할 수가 있겠는가? (人生不到張家界, 白歲豈能稱老翁?)" 라는 말이 있다. 그야말로 장가계가 얼마나 아름다운 곳인지를 단적으로 잘 표현해 주는 말이다. 장가계의 풍경은 세계자연유산인 무릉원(武陵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무릉원은 장가계시에서 30㎞ 떨어진 곳에 있으며, 1992년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의 자연유산'으로 등록된 중국의 독특한 자연 풍경구이다. 무릉원은 장가계 풍경구인 국가삼림공원, 삭계욕(索溪峪) 자연보호구역, 천자산(天子山) 자연보호구역, 양가채(楊家寨) 풍경구역 등 4대 풍경구역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무릉원 밖의 옥황동(玉黃洞), 구천동(九天洞), 팔대공산(八大公山), 오뢰산(五雷山), 천문산(天門山), 모암하(茅巖河) 등 주변 풍경구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용고거(賀龍故居)와 장가계 시내 풍경 등 경관 지역까지 포함하면 장가계시의 풍경명승지 전체 면적은 500㎢에 달하게 된다. 하늘이 조화를 이룬 자연풍경지라는 명칭에 손색이 없는 곳이다. 장가계의 모습은 신선들이 노닐던 선경을 방불케 한다. 중국 사람들도 "장가계의 새로운 자연의 모습은 오악(五岳)의 황산(黃山)과는 또 다른 것이다" 라는 찬사를 보낸다. [張家界市] 호남성(湖南省)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흥 국제 관광도시이며, 성도(省都)인 장사(長沙)로부터는 400㎞거리에 있다. 중국의 첫 번째 국가삼림공원인 장가계가 있어서 시 이름이 되었다. 면적 9,563㎢, 인구 155만 명으로, 그중 소수민족인 토가족(土家族), 백족(白族)과 묘족(苗族)이 60%를 차지한다.장가계시의 원래 이름은 대용(大庸)이였으나 1988년 5월 지급시(地級市)로 승격하였고, 1994년 4월 4일 장자제시로 명칭을 바꾸었다. 현재는 영정(永定)과 무릉원(武陵源) 두 구역과 자리(慈利)와 상식(桑植)의 이현(二縣)으로 분할되어 있다. 장가계시의 역사는 유구하여 일찍이 "순임금이 자유롭게 숭산(崇山) 돌아보기를 좋아했다"라는 말이 있다.서주(西周)시대는 형주(荊州)에, 춘추(春秋)시대는 검중(黔中)에, 진(秦)나라가 통일할 시기에는(기원전 221년) 자고현(慈姑縣)에 각각 속했다. 명(明)대에는 대용위(大庸衛)를 설치했고, 민국(民國) 11년에 대용현(大庸縣)으로 개명했다. 유구한 역사와 수려한 산수는 소박하고도 다양한 민속 문화를 배양했으니 이곳은 양희(陽戱)의 발원지이며 산가(山歌)의 고향이기도 하다. |
[둘째날 이동궤적]
조식후 대협곡 관광하고 쇼핑센터(茶) 들린 후 중식
중식 후 황석채-양가계-원가계-백룡케이블카 순으로 관광을 했다.
궤적에서 보듯 백룡케이블카에서 삭계호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빙 에둘러 가야 했는데 이유는 무릉원 도로공사 때문이었다. (15분 거리를 무려 45분 걸림)
7시 21분. 개천호텔을 나서며
호텔 뷔페로 아침을 먹었는데 화시호텔에 비해 질이 떨어졌는데 기억에 남는 것은 찐 찹쌀밥에 옥수수이고 과일과 채소는 없었다. 설상가상 3일 내내 똑 같은 메뉴가 나와 우리를 식상케 했다. ㅠㅠ 오늘의 첫 관광지는 대협곡이다. 개천호텔에서 버스로 약 40분 거리, 버스가 높지 않은 산을 굽이굽이 올라가 산 정상의 7부능선에서 멈추더니
바로 눈앞에 대협곡 입구가 나타났다. 이곳에서 경사 70도의 계단길(천제잔도)로 내려간다.
천제잔도(天梯棧道)
일선천(一线天)이라는 2억 8천 500만 년 전에 지각 변동으로 생긴 협곡의 틈새로 만든 계단길이며 수직 높이는 400미터, 830계단이다. 고소 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감히 내려다 볼 수 없는 그런 경사각이다.
830계단을 내려오니 화강암 활도(미끄럼틀)가 기다리고 있다. 매표한 표를 보여주면 궁둥이에 까는 담요와 흰 면장갑을 주는데 이때 담요는 허리와 무릎 아래를 꽉 묶어야 바지를 상하지 않는다고 한다. 모두들 궁둥이에 담요를 두른 모습이 익살스럽다.
손과 발을 브레이크로 하여 마치 봅슬레이를 타듯 활도를 내려가는데 이때 허리를 뒤로 저치면 속도가 더 빨라지고 허리를 세우면 속도가 느려진다. 활도는 직선이 아닌 커브로 되어 있어 자연히 속도를 제어하고 타는 재미를 배가 시킨다.
활도 덕분에 순식간에 내려온 느낌이다. 거의 다 내려온 지점에 자동적으로 사진이 찍히는 곳이 있었는데 원하면 돈을 내고 살 수 있다.
내려온 후 올려다 본 건설 중인 유리잔도
이 유리잔도는 높이 300m, 길이 375m, 너비 6m로 세계 최고이자 최장의 유리잔도이다. 2016년 5월 1일 노동절 연휴 이전에 개통될 예정이며 이 유리잔도 가운데에는 300m 높이에서 뛰는 아찔한 번지점프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다시 협곡에 흐르는 신천계(神天溪) 다리를 건너면
우리가 내려온 천제잔도의 왼쪽 암벽 중간에서 시원하게 떨어져 내리는 인공폭포인 비룡폭포가 보인다. 절벽 중간에 옆으로 길게 파진 틈새가 보이는데 이것이 남방홍기거(南方紅旗渠)라는 하는 암벽을 파내어 만든 인공수로이다. 1964년 공사를 시작하여 1971년 완공되었으며 총연장 10여km에 달하며 삼관사(三官寺) 지역 토가족 주민들의 식수와 경작용수로 쓰이고 있다고 한다.
이제는 물길을 따라 편안한 데크목 길이 이어진다. 중국의 그랜드캐넌이라 불리는 장가계 대협곡은
2011년 4월에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60만 평방미터 넓이에 길이는 3.5km 이며 수직높이는 400m
크고 작은 폭포만 여섯개이며 물길을 댐으로 막아
마지막에는 유람선을 타야 빠져 나갈 수 있는 구조다.
트레킹 시간은 유람선 타는 시간까지 포함 약 3시간 정도다.
실폭을 배경으로 찍었는데 폭포가 잘 안 보이네..
이곳은 댐 위에 설치한 다리인데 반은 투명한 유리로 되어있다. 물의 색깔이 옥빛을 띄는데 석회성분 때문이다.
일 년 내내 비 오듯 쏟아지는 곳이라고 한다. 쾌속통과해야 하는 지점
이곳은 간이 매점인데 맥심커피, 막걸리라고 한국어로 쓰여 있는 것으로 보면 한국인들이 참 많이 오는 모양이다. 지금 보이는 사람들 역시 모두 한국인들이다. 우리 일행도 이곳에서 포천 이동 막걸리 한 잔씩을 마셨다. (일행 중 김경희씨가 쏨)
잠시 후 마치 무협지에나 나올 법한 거대한 동굴이 나타난다. 동굴 안은 캄캄해서
누군가가 비춰주는 후레쉬 불빛으로 간신히 통과했는데 동굴 천정에는 종유석 모양의 울퉁불퉁 틔어난 돌이 보인다.
천선수폭포(天仙水瀑布)라 적혀 있다. 이 폭포는 자연폭포다.
뒤돌아 본 천선수 폭포, 이렇게 댐을 만들어 수위를 높여 놓았다.
유람선을 배경으로, 선착장까지는 조금 더 걸어야 한다.
이제 유람선을 타고 나가야 한다. 유람선은 정원이 차야 출발했으므로 정원이 찰때까지 좀 기다려야 했다. 배가 출발하니 무척 쌀쌀했다. 여름철이면 시원하겠지만 겨울철에는 보온에 신경을 써야 한다.
잠시 후 하류 선착장에 도착하니 군밤파는 곳이 많이 보이는데 한결같이 천원 천원' 한다. 살까하다가 그냥 버스에 올라탔다.
이렇게 대협곡 관광을 마친 후 보이차 쇼핑센타를 방문했고 약 1시간 정도 원치 않는 강의를 들어야 했다. 이후 된장찌개가 맛있는 한국식당(명가)에서 점심을 먹은 후 황석채로 이동했다.
대협곡 다음 코스는 장가계에서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황석채, 양가계, 원가계다. 리무진버스를 타고 장가계 국가삼림공원으로 왔다. 중국 최초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장가계 국가삼림공원은 도연명의 도화기에 나오는 무릉도원의 실제무대라고 한다.
커다란 바위에 황금색으로 '장가계 국가삼림공원' 이라고 새겨 놓은 곳을 지나면 큰 광장이 나오고 가운데 동상이 하나 서 있다. 이 동상의 주인공은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중국 화단을 대표하는 화가 오관중(吳冠中 1910~2010)이다.
이곳 장가계의 경치를 많이 그려 장가계를 세상에 널리 알린 인물로 알려 있다. 오관중의 그림을 보고 사람들은 화가가 상상으로 그린 것으로 생각했는데 나중에서야 그림속의 경치가 실제로 존재하는 경치라는 것을 알고 모두들 놀랐다고 한다.
황석채의 원숭이, 누가 주었는지 밀감을 들고 있다. 가이드는 관심을 가지면 따라오니 눈길을 주지 말라고 했지만 눈길이 가지 않을 수 없다.
매표소에서 관람객은 한 사람 빠짐없이 카드를 넣은 후 지문을 인식해야 통과할 수 있다.
뾰족뾰족하게 솟아오른 기이한 봉우리에는 흐릿한 운무가 뒤덮고 있어 한층 더 신비로운 느낌이 든다.
이곳에서 단체 사진을 찍었다.
잠시 후 셔틀버스를 타고 황석채 케이블카 승강장으로 이동한다.
황석채 케이블카 승강장
앞뒤로 시야가 훤히 들어나는 케이블카가 산을 오르면서 마침내 황석채가 그 모습을 들어낸다.
산 밑에서 보았던 것과 비슷하게 생긴 봉우리들이 손에 잡힐듯 가깝게 다가온다.
길쭉하고 뾰족하게 생긴 봉우리는 눈대중으로는 그 길이를 짐작할 수 없다.
올라갈수록 운무는 짙어져 끝내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오리무중이 되었다.
운무기 집어 삼킨 오리무중의 황석채 정상에서
여섯 곳을 볼 수 있다고 하여 육기각(六奇閣)이라 불리는 전통 건물이다.
오지봉에서는 오지봉을 대신한 아내의 오지가
타고 올라왔던 케이블카로 다시 내려간다.
기대했던 풍경은 이런 풍경이 아니었다.
1시간 전만 하더라도 다 보였다고 하니 더욱 애석하다.
하지만 보여 주는 것도 자연이고 보여 주지 않는 것도 자연이니 어쩔 수없다.
황석채 케이블카 승강장에서 셔틀버스를 타고 조금 이동한 후 다시 양가계 가는 셔틀버스 정류장까지는 걸어서 이동했다. 마치 우리 일행을 마중하는 듯, 나무에 앉은 원숭이가 보이고
다시 셔틀버스를 타고 양가계 케이블카 승강장으로 왔다.
케이블카를 타고 바라본 양가계의 풍경은
황석채 풍경과는 분명히 다르지만
운무가 자욱하게 끼어 있는 상태에서 보니 특별한 차이점이 없어 보인다.
주마간산 식으로 스쳐지나가
빠르게 사라지는 풍경이서 그럴까?
머릿속 뇌리에 깊이 기억되기에는
너무나
안타까운 양가계 풍경이구나!
이렇게 양가계 케이블카 관광은 허무하게 끝이나고
다시 셔틀버스를 버스를 타고 원가계로 이동했다.
참으로 숨돌린 틈도 없는 빡빡한 일정이었다.
이 좋은 곳에 와서 이렇게 몰아치듯 보는 것이
정말 싫지만 패키지여행이라 어쩔 수 없다.
원가계는 2009년 개봉하여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영화 '아바타'를 촬영한 곳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는 곳이다.
이곳은 원가계 풍경구에 있는 '천하제일교'이다.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다리로써는 세계에서 가장 높으며 봉우리와 봉우리를 잇는 다리의 길이는 50m, 다리에서 아래까지는 357m
장가계 경치를 보는 데는 빵점자리와 백점짜리, 그리고 만점짜리가 있다고 한다. 비오고 운무가 끼어 아무 것도 보이지 않으면 빵점짜리이고 좋은 날씨 장가계 경치를 그대로 보면 백점짜리이고 만점짜리는 오늘처럼 운무가 낀 신비로운 풍경이라고 한다. 그럴듯한 이야기지만 여행자의 입장에서 백점짜리 경치를 보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
이 바위는 건곤주(乾坤柱) 라 하는데 일명 할렐루야 바위라도 불리는 바위다. 바위의 모습이 아래로 내려갈수록 가늘어져 가분수 모양을 한 것이 특징이다.
건곤주(乾坤柱)
영화 아바타의 배경이 된 이 바위는 장가계의 삼천 기봉 중의 하나로 해발고도 1,074m, 수직고도 약 150m이고 꼭대기에는 나무로 울창하다.
머리부분이 울창한 나무로 덮여 있어
영락없는 사람의 옆모습을 한 바위다.
사람의 혼을 빼앗는다는 미혼대(迷魂臺)에 섰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원가계풍경은 봉림지모(峰林地貌) 그 자체다. 수많은 봉우리가 마치 우후죽순으로 울창하게 솟아나 있다.
뒤돌아본 미혼대
이 사진을 끝으로 원가계 관람을 마치고
백룡엘리베이트로 향한다. 백룡엘리베이트에서 본 풍경은 그야말로 찰나였다. 보이는 순간은 불과 1분 남짓, 나머지 반은 터널속이라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내려온 후 본 백룡엘리베이트
옥외엘리베이트로서는 세계에서 제일 높다.
높이는 335m이며 1분 58초면 지상에 도착한다.
황석채와 마찬가지로 아래로 내려오니 아름다운 풍경이 펼쳐져 탄성이 절로 난다. 금세 또 다른 신세계로 들어온 느낌이다. 백룡엘리베이트가 만들어낸 요술이다.
셔틀버스를 기다리는 사람들, 아쉽지만 이 사진을 끝으로 오늘의 일정을 마쳤다. 호텔로 돌아가는 길은 공사 때문에 15분 거리를 45분 가량 에둘러 가야 했다.
무릉원구로 돌아오니 어둠이 깔리고 자녁을 먹기 위해 '흥부식당'으로 이동 중이다.
흥부식당의 오리구이와 오리탕
오리구이 보다는 오리탕이 낫고 오리탕 보다는 된장찌개가 더 맛있었다.
저녁 먹고나서 매력상서 쇼 보러 갔다.
많은 관객들 중 반은 한국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았다.
극장은 난방시설이 안되 있었다. 하필이면 오늘따라
옷을 얇게 입고 오는 바람에 덜덜 떨면서 관람을 했다.
우리는 가운데쯤 자리를 잡았다.
어느 나이 드신 분이 나와 붓으로 글을 쓰셨는데
그 글을 경매형식으로 즉석에서 판매했다.
모르긴 해도 꽤 유명한 분이 아닌가 싶다.
웅장한 북소리와 함께 쇼는 시작되고..
처음에는 그저 그랬는데
보면 볼수록 빠져들게 만들었다.
이 장면은 토가족 총각이 토가족 처녀를 만나는 비법을 알려준다.
장면 마다 바뀌는 화려한 의상과 무대
그리고
화려한 기예에
어느새 빠져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장면은 이에 끈을 물고 팽이처럼 돌고 있는 여인의 기예다.
이렇게 여러 공연이 이루어지더니
여성 사회자가 한국 오빠들 (다섯 명) 나오라고 한다.
얼마나 우리 한국인들이 많이 오는지 알 수 있다.
이제 중국과 한국은 가장 가까운 사이가 되었다.
그래서 6명의 한국 남자들이 나왔는데 (이중에서 한 명은 되돌아갔고) 다섯 토가족 처녀가 주는 전통 중국옷을 먼저 입고 춤을 멋지게 추는 사람에게 선물을 주었다. (대표로 주었고 실상은 다섯 명 모두에게 선물을 증정하는 것 같았다.) 우리 팀에도 비교적 젊은 돌싱 한 명이 있었는데 용기가 없는지 나가지 않아 실망스러웠다.
이 장면은 곡가(哭歌)인데 결혼하기 최소 3일에서 한 달까지 우는 토가족 여성의 독특한 혼례 풍습을 그린 것이다. 딸이 시집을 가면 슬퍼서 운다고 하는데 아직까지도 이곳 토가족은 이런 풍습이 있다.
이 장면을 끝으로 극장 공연이 모두 끝나고
이어서 야외 공연이 시작되었다.
야외 공연은 차력공연이었다. 안 그래도 추워 죽겠는데 덜덜 떨면서 봤다. 이 바람에 감기에 걸려 아직까지도 고전하고 있는 중이다. ㅠㅠ
시퍼렇게 날이 선 칼날 위를 걷는 차력인데 무속인이 아니면 할 수 없는 경지다.
이렇게 매력상서 공연은 끝나고..
어제 낮 고속도로 휴게실에서 먹었던
52도 고량주 탓인지 속도 불편하고 춥기도 하고
정말 힘든 관람이었다.
21시 호텔로 돌아오니
히터가 빵빵하게 들어와 따뜻했고
청소도 잘 되어있어 기분이 좋다. ^^
위장약 한 알을 삼킨 후
23시경에 자리에 누웠다.
5박 6일 동안의
중국 장가계 여행
둘째날을 정리하면서..
'해외 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장가계 마지막 넷째날 (천문산-장사) (0) | 2016.01.12 |
---|---|
중국 장가계 셋째날 (보봉호-십리화랑) (0) | 2016.01.10 |
중국 장가계 첫날 (인천-장사-황룡동굴) (0) | 2016.01.07 |
미서부 여행기 (여섯째 날) 라플린~로스앤젤레스 (0) | 2014.06.29 |
미서부 여행기 (다섯째 날) 라스베가스~그랜드캐넌~라플린 (0) | 201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