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게 물든 안나푸르나 남봉과 바라하시카르
-네팔 안나푸르나 A.B.C~데우랄리~도반 트랙-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 베이스캠프]
2015.10.30~2015.11.9 (10박 11일) 혜초여행사
Day-8 11월 6일(금)
A.B.C-M.B.C-데우랄리-히말라랴롯자-도반
-10박 11일 일정- 제1일(금)-인천-카트만두 (투숙) 제2일(토)-카트만두-포카라-나야풀-힐레 (투숙) 제3일(일)-힐레-울레리-반탄티-난게탄티~고레파니 (투숙) 제4일(월)-고레파니-푼힐-데우랄리-반탄티-타다파니~추일레 (투숙) 제5일(화)-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투숙) 제6일(수)-시누와-밤부-도반-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 (투숙) 제7일(목)-데우랄리-M.B.C-A.B.C (투숙) 제8일(금)-A.B.C-M.B.C-데우랄리-히말라야롯지-도반 (투숙) 제9일(토)-도반-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투숙) 제10일(일)-지누단다-뉴브릿지-큐미-시와이-나야풀-포카라-카트만두 (투숙) 제11일(월)-카트만두-하노이-인천 |
안나푸르나 (Annapurna) 네팔의 히말라야 중부에 있는 연봉(連峰)으로 높이 8,091m 서쪽으로부터 제1봉(8,091m) ·제3봉(7,555m) ·제4봉(7,525m) ·제2봉(7,937m)의 순서로 이어지며, 제3봉의 남쪽에는 마차푸차레(6,997m)의 아름다운 첨봉이 파생되어 있다. 산 이름은 ‘수확의 여신’이라는 뜻으로, 동쪽은 마르얀디 계곡을 사이에 두고 마나슬루산군(山群)과 마주하며 서쪽은 칼리간다크를 사이에 두고 다울라기리와 마주한다. 제1봉은 1950년 6월 3일 프랑스 에르조그 등반대가 처음으로 등정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8,000m급의 정복이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히말라야 등산 붐의 출발이었다. 제2봉은 1960년 5월 17일 영국 ·네팔 공동 팀인 로버츠 등반대가 등정하였고, 제3봉은 1961년 인도의 코리 등반대, 제4봉은 55년 5월 30일 독일의 슈타인메츠 등반대가 각각 등정에 성공하였다. [히말라야 8,000m 14좌] 1 에베레스트 (Everest) 8,848 2 케이투(K2) 8,611 3 칸첸중가 (Kānchenjunga) 8,603 4 로체 (Lhotse) 8,516 5 마칼루 (Makalu) 8,463 6 초오유 (Cho Oyu) 8,201 7 다울라기리 1봉 (Dhaulagiri I) 8,167 8 마나슬루 (Manaslu) 8,163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5 10 안나푸르나 1봉 (Annapurna I) 8,091 11 가셔브룸 1봉 (Rgasha Brum I) 8,068 12 브로드피크 (Broad Peak) 8,047 13 시샤팡마 (Shishapangma) 8,0465 14 가셔브룸 2봉 (Rgasha Brum Ⅱ) 8,035 |
[트레킹 6일차 일정]
하산 트레킹으로 A.B.C~M.B.C~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도반 까지 주로 내리막길이 이어졌다. 어제 내린 눈으로 M.B.C 내리막길 부터 아이젠을 착용하여 데우랄리에서 벗었다. 오룩스맵 거리는 13.74km
A.B.C~도반 트레킹궤적
어젯밤 19시 25분에 잠자리에 들어 23시, 01시 30분, 04시 세 번이나 깬 끝에 05시 15분에 일어났다.
일어나자마자 바깥으로 나가니 어제 내린 눈이 수북이 쌓여있고 어슴푸레하나마 주변의 산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빛이 없는 고로 기다렸다.
05시 57분. 위 사진을 촬영하면서 하루가 시작되었다. 일출을 보기 위해 일행들이 일출장소로 향했기 때문이다.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 산은 히운출리(6,441m), 안나푸르나남봉(7,219m), 바라하시카르(7,647m)다.
그 다음이 안나푸르나Ⅰ봉 (8,091m)
그리고 간다르바출리(6,248m) 마차푸차레(6,993m)
안나푸르나Ⅲ봉(7,555m), 간다르바출리(6,248m), 마차푸차레(6,993m) 그리고 히운출리(6,441m)를 광각으로 담아 보았다.
왼쪽 높은 설산이 신구출리(6,501m), 그 아래 검은 산이 타르푸출리(5,663m) 그리고 우측으로 안나푸르나Ⅲ봉(7,555m)으로 이어진다.
06시 18분. 안나푸르나Ⅰ봉 부터 붉어지기 시작했다. 드디어 일출이 시작된 것이다.
붉게 달아오르는 안나푸르나Ⅰ봉
안나푸르나 남봉과 바라하시카르도 달아올랐다.
아름다운 그 모습에 넋이 다 나간다. 아!~ 아!~
이 순간이 영원히 기억되기를 바라며..
아!~ 아!~ 안나여! 아름다운 안나푸르나여!
우리는 당신을 평생 잊지 못할 것입니다.
다시 정신을 수습한 후 이제는 안나푸르나의 산이 되신 고 박영석, 신동민, 강기석님의 추모비로 향한다.
추모비 앞에서 향불과 술잔을 올리는 이는 의성 권영오님, 술잔을 올린 후 고인들을 위한 단체 묵념이 오랫동안 이어졌다.
고 박영석 대장
1999 - 에레베스트 무산소 등정
2001 - 세계 최단기간 히말라야 14좌 완등
2004 - 남극점 도보탐험 성공
2005 - 북극점 도보탐험 성공
2006 - 에레베스트 횡단 등반
2009 - 에레베스트 남서벽 코리안 루트 개척
2011 - 안나푸르나 남서벽 루트 개척 중 실종
추모비에서 바라본 A.B.C
추모비에서 바라본 안나푸르나
구름 마저도 신 앞에는 자세를 낮추었구나.
추모비의 일행들
안나푸르나의 산이 되신 세 분과 함께..
추모비에서 바라본 파노라마
좌로부터 - 남봉-바라하시카르-1봉~신구출리~타르푸출리~3봉~간다르바출리~마차푸차레~히운출리까지 360도 돌린 사진이다.
저곳 어디에 잠들어 계실 세 분의 명복을 빕니다.
추모비를 내려오면서
한 번 뛰어 보라고 했더니 폴짝!
이 사진을 끝으로 식전 행사를 모두 마쳤다.
07시 05분~07시 20분 아침식사를 한 후
08시 부터 하산 트레킹을 시작한다.
하산하면서 본 히운출리 동벽
맞은편의 웅대한 신구출리와 타르푸출리
그리고 디카의 히스토그램 처럼 역동적인 안나푸르나 Ⅲ봉, 간다르바출리
발걸음도 가벼운 하산 트레킹이다.
그래도 미련이 남아서.
다시 선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 인증 포토존에서
자꾸만
자꾸만
고개가 돌아간다.
돌아가는 고개를
어쩌란 말인가!
히운출리 동벽을 바라보며 누군가가 말한다. "저기서 스키타면 좋겠다."고
09시. 안나푸르나를 뒤돌아보니 저절로 눈물이 나왔다. 처음에는 눈물만 나왔는데 감정이 북받치니 아예 울먹이고 있다.
오! 안나여! 감사합니다.
당신은 당신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 주셨습니다. 2년 전 오름길에서 울컥하셨다던 백산님의 심정을 비로소 이해합니다.
마차푸차레를 빛추는 태양과 맞장을 한 번 떠보았다.
09시 35분.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에 도착했다.
눈 덮인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는 어제와는 사뭇 분위기가 다르다.
M.B.C에서 바라본 안나푸르나의 마지막 모습.
10시 01분. 뒤돌아본 M.B.C
M.B.C 내리막길에서 아이젠을 찼다.
10시 11분. M.B.C 에서 데우랄리 가는 길에서 뒤돌아본 풍경
10시 14분. M.B.C 에서 데우랄리 가는 길에서 뒤돌아본 풍경, 오른쪽 단애에 부처님상이 있다 해서 한참동안 쳐다보았지만 못 찾겠다 꾀꼬리!
10시 15분. 거대한 단애를 바라보는 아내
아내가 본 거대한 단애
어제 보았던 눈 동굴에 아내를 서게 했다.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는 사진
11시 16분. 어제 놓쳤던 한국인 여인의 추모탑 앞이다. 추모탑은 마차푸차레가 잘 보이는 장소에 서 있다. 고인의 명목을 빕니다.
11시 30분. 그젯밤 묵었던 데우랄리 드림 롯지다.
도착하자마자 아이젠 부터 벗어 배낭에 넣었다.
이곳에서 점심을 먹었다. 오늘 점심은 라면이다.
간식으로 나온 삶은 감자와 삶은 계란
맛깔스러운 반찬
그리고 신라면
히말라야에서 먹는 라면 맛, 기가 차다.
큰형님이신 이문수님이 좀 늦게 내려오시는 바람에
자연히 오래기다렸다가 라면을 먹었다. 그래서인지 더 맛있었다. 점심을 먹고 나니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13시 30분. 다시 우중 트레킹을 재개한다.
13시 49분. 다시 도착한 힝크동굴에서 보는 풍광은 어제와 달리 운무가 자욱하다.
14시 25분. 히말라야 롯지에 도착했다. 이곳에 오니 비가 더 많이 내린다.
이곳에서 의성 권영오님이 눗찌아를 돌리는데 본인이 사시는 것이란다. 감사의 인사를 올리니 눗찌아 한 잔에 우리 돈 200원이란다. 허~ 14시 42분. 히말라야 롯지를 떠나 다시 트레킹을 재개한다.
도반 가는 개활지
도반 가는 숲길
15시 45분. 도반에 도착했다.
여기서 하마터면 계속 밤부로 내려갈 뻔 했다. 보통 롯지에 도착하면 일행들이 보였는데 이곳에는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와 "혜초" 하니 상혁이 롯지 안에서 "네!" 하고 나왔다.
도반 롯지 2호실
(원 일정은 밤부였다는데 도반 롯지의 시설이 좋아 변경함)
이틀 만에 도반 롯지에서 샤워를 하니 살 것 같다. (기다리기 싫어서 아내와 함께 했다.) 비는 계속 내리고 있지만 이곳은 백열등과 LED등 2개가 있어 훤해서 좋다.
그동안 열악한 롯지에 지내다가 이곳에 오니 마치 호텔 같은 느낌이다.
저녁 메뉴로 만두국과 만두튀김이 나왔는데 오늘 저녁이 제일 못하다. 후식으로 석류를 먹었는데 네팔 석류는 신맛은 없고 단맛만 있다.
이곳 롯지는 시설이 좋아 모두들 만족인데 특히 샤워장과 화장실 시설이 좋으며 물이 좋은지 피부가 좋다며 싱글벙글 들이다.
저녁식사를 마치고 양치질하고 방으로 들어오니 겨우 19시인데 TV가 있나, 컴이 있나, 스마트폰이 되나, 할일이 없구나. ^^;
결국 19시 30분 경 잠자리에 들어 23시 15분. 화장실 가느라 밖으로 나가니 하늘에는 무수히 많은 별들이 보이고 모디콜라는 굉음을 토하며 흘러내리고 있다.
10박 11일 동안의
네팔 안나푸르나 트레킹
제7부를 정리하면서..
'해외 트래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9부 (지누단다~뉴브릿지~큐미~시와이) (0) | 2015.11.23 |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8부 (도반~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0) | 2015.11.23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6부 (데우랄리~M.B.C~A.B.C)| (0) | 2015.11.20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5부 (시누아~밤부~도반~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 (0) | 2015.11.19 |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4부 (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0) | 201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