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산 산행기

완주 운암산▲

통영사람 이수영 2012. 6. 29. 21:14

[전북 완주] 운암산 ..  (340번째 산행기) 




 



             ㅇ일시:
2010년 11월 28일 일요일
             ㅇ날씨: 맑음 (시계는 비교적 깨끗했고, 다소 쌀쌀한 날씨)
             ㅇ산행자: 영원한 산친구 그리고 나
             ㅇ산있는곳: 全北 完州郡 東上面 大雅理, 高山面

             ㅇ산행코스: 새재-515봉-566봉-567봉-운암산-안부-절골-732번 도로-대아수목원-제1전망대-대아수목원 주차장

             ㅇ산행시간: (산행 시간은 의미가 없어 생략함.)

        

 



             ㅇ일정시간표
            ㅇ07:44 통영출발
            ㅇ08:40~09:21 함양휴게소 (아침식사)
            ㅇ09:59 완주IC
            ㅇ10:35~16:55 산행 -- 순수산행만 하면 3시간 30분이면 충분한 코스
            ㅇ17:00~17:07 '덕유예찬 이백휴님' 모하비 승합차 타고 들머리로 돌아오다.
            ㅇ17:39~18:20 '대통밥일번지' (저녁식사) 063-243-5024 대통밥 1인분 12,000원

            ㅇ18:40 소양IC
            ㅇ20:15 통영도착


 

 운암산 (雲岩山)  605m 


운암산은 완주군 동상면 대아저수지 북쪽에서 고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이다. 전라북도 경계선 이내에는 1,000m가 넘는 5대 고산이 있다. (덕유산 1614m, 장안산 1346.9m, 팔공산 1151m, 운장산 1126m, 적상산 1034m) 그 중 높이가 네번째인 운장산에서 북쪽으로 뻗어나간 대능선이 칠백이고지(700.8m)를 만들고 여기서 남서쪽으로 갈라진 지맥의 끄트머리에서 아름다운 대아저수지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우뚝 솟아 숨어 지내온 수려한 명산이다.

 

정상인 관봉은 옛날 봉수대 자리로 그때의 석축이 지금도 뚜렷하게 남아있다. 서쪽으로 뻗은 능선은 기암괴석으로 이어 내리고, 능선의 남쪽면은 거대한 절벽지대를 이루고 있다. 대아저수지는 1922년 소규모로 설치되었으나, 1989년에 저수량 5,465만 톤을 자랑하는 대 호수로 확장 보강되어 전북의 명소로 부상하였다. 오지중의 오지였던 대아리 일대는 대아저수지 확장에 따라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으며, 도로에서 바로 산으로 오를 수 있어서 좋다, 운암산은 산수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그 아름다움이 한층 돋보이는 명산이다.

-김형수저 한국400산행기에서 발췌-


 

 

 

 

 


 

 


 

 


                
산행이야기

 

 

                2005.07.31일 나의 103번째 산행기

               지리산 이끼폭포 산행기 편에서 나오는 대화 내용입니다. 

 

              『성함을 물어보니 서()락 라고 말씀하시는데 차분히 말씀하시는 폼이

               꼭 교수님 타입이다. 혹시 산행기는 쓰시지 않습니까? 하고 물으니

               산행기를 쓰시지 않는다고 말씀하신 후

               "산행기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이나 쓰는 것이지.." 하신다. 흑흑..

               졸지에 백수가 된 느낌..』

 

               산행기 집필이라는 것이 그만큼 시간이 많은 사람들이나 하는 짓(?)이라는 것인데..  

 

               그 후 5년 하고도 4개월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변함없이 산행기 집필에 근속(?)하는 것은 물론이고 한 술 더 떠서

               카페관리다 뭐다 하며 컴퓨터의 노예가 되어 힘들어 하고 있으니

               보다 못한 아내왈'

               한 주는 산행기 쓰는 산(미답지)으로 가고

               다른 한 주는 산행기를 쓰지 않아도 되는

               산(답사지)으로 가면 되지 않겠느냐. 고 합니다.

               그래서 그렇게 해볼까 하는 마음도 품었으나

               똥 누러 갈 때와 누고 나서 마음 틀리고

               아이 낳기 전과 낳고 난 후가 틀리듯 (아이는 안 낳아 봤지만)

               산행기만 탈고하면 다시 미답지를 욕심내니

               한심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참 욕심쟁이기도 합니다.

               물론 그 끈질긴 집념 덕분에 339편의 산행기를 집필하게 되었지만 ..

 

               오늘도 예외는 아니어서 미답지 전북 완주의 운암산으로 정하니

               아내 왈’ 서쪽은 혹시 폭탄이 떨어질지도 모르니 동쪽(경남이나 경북)으로 가자고 합니다.

               갑자기 산행지를 변경하자니 연구해 놓은 곳이 있는 것도 아니고

               또한 구더기 무서워 장을 못 담는데서야 말도 안 되는 소리라 그냥 가기로 합니다.

               산이 산인만큼 일찍 일어나야할 하등의 이유가 없어 평소처럼 일어나

               충무김밥 2인분을 점심 도시락으로 준비한 후

               함양휴게소에서 옥연밥상으로 아침을 먹고

               완주IC를 빠져나와 들머리인 동상면 대아리로 들어서니

               한 눈에 운암산이 척하니 들어옵니다. ^^

 

 

 

 

 

732번 도로에서 바라본 운암산 





 

 


 

 

들머리 새재 (고도 120m)  <10:35>



                새재로 올라오니 이미 대형버스 한 대에서 단체등산객들을 쏟아져 내리고 있고

               개인으로 오신 부부산님들도 보입니다. 단체등산객들을 먼저 보내고 느긋하게 출발합니다.

               초입은 절개지의 좌측 사면길인데 초반 등로는 무척 완만하게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좌측 사면길은 부드러운 완경사 낙엽길입니다 .. 

 

 

 

 

 

 

 

 

 

조금 진행하면 나타나는 원통형 건물의 정체는 ?

 

 

 

 

 

 

 

 

 

오름길에 바라본 대아저수지와 완주군의 산군들 ..

 

 

 

 

 

 

 

 

 

 

이곳에서 아주 작심합니다. 오늘은 아주 느긋하게 출사산행을 하자고 말입니다.

 

 

 

 

 

 

 

 

운암산의 명품 분재소나무 (고도 375m),

이곳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이런 소나무들이 보입니다.

 

 

 

 

 

 

 

 

 

 

 

 

 

 

 

 

 

 

 

 

 

 

 

 

 

 

 

 

 

 

 

 

 

 

 

 

 

 

 

 

 

 

 

연기가 나는 곳은 채석장입니다.

 

 

 

 

 

 

 

 

 

부사관학교와 새재 그리고 대아댐 (망원렌즈로 갈아끼움.)

 

 

 

 

 

 

 

 

 

경천저수지

 

 

 

 

 

 

 

 

 

 左 대둔산(878m) 中 봉수대산(581m) 右 세레봉~선녀남봉(665m)

 

 

 

 

 

 

 

 

 

육산인 봉수대산 능선 너머로 보이는 근육질의 천등산(706.9m)과 대둔산(878m)

 

 

 

 

 

 

 

 

 

육산인 봉수대산 능선 너머로 보이는 톱날능선의 쎄레봉~선녀남봉(665m)

 

 

 

 

 

 

 

 

 

내려다 본 완주군 고산면 소향리 마을

 

 

 

 

 

 

 

 

 

경천저수지 풍경화

 

 

 

 

 

 

 

 

 

 

 

 

 

 

 

 

 

 

 

 

 

 

 

 

 

 

 

 

 

 

 

 

 

 

 

 

 

 

 

 

 

 

줌으로 당긴 운암산 정상 (관봉)

 

 

 

 

 

 

 

 

 

 

운암산 정상 이후 칠백이고지를 향하는 능선과 칠백이고지에서 장군봉까지의 마루금

 

 

 

 

 

 

 

 

 

화려한 조망이 터지는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지척거리의 운암산 정상(관봉)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파노라마  클릭! 

 

 

 

 

 

 

 

 


전망바위에서 바라본 파노라마  클릭!

 

 

 

 

 

 

 

 

 

전망바위에서 줌으로 당긴 천등산(706.9m) 대둔산(878m)

 

 

 

 

 

 

 

 

 

전망바위에서 줌으로 당긴 쎄레봉 선녀남봉(665m)

 

 

 

 

 

 

 

 

 

전망바위에서 줌으로 당긴 선태봉(758.7m)??  진악산(732.3m)??

 

 

 

 

 

 

 

 

 

전망바위에서 줌으로 당긴 왕사봉(718.3m)

 

 

 

 

 

 

 

 

 

전망바위에서 줌으로 당긴 진안 명도봉(863m)

 

 

 

 

 

 

 

 

 

전망바위에서 줌으로 당긴 장군봉(742m) 그너머 복두봉(1,018m)

 

 

 

 

 

 

 

 

 

정상 절벽 우측으로 톱날능선의 연석산(925m) 그 앞에는 연석산 북릉인 문필봉(625m)

 

 

 

 

 

 

 

 

 

동성산(558m) 원등산(713m),위봉산(602.4m),되실봉(603m),
종남산(608m),서방산(612.3m),

서래봉(705m),안수산(554.6m) 등등이 모여 있는 곳 멀리 높은 산은 모악산(793.5m)??

 

 

 

 

 

 

 

 

 

이곳은 위 사진의 우측으로 보이는 산군인데 .. ???

 

 

 

 

 

 

 

 

 

 

 

 

 

 

 

 

 

 

 

 

정상 오름 로프길

 

 

 

 

 

 

 

 

 

 

 

 

 

 

 

 

 

 

 

 

 

 

 

 

 

 

 

 

 

 

 

 

 

 

 

 

 

 

 

 

 

 

 

 

 

 

 

 

 

 

 

 

 

보통 산님들 보다 1시간이나 더 걸려 도착한 운암산 정상 (605m)  <13:24>

 

 

 

 

 

 

 

 

 

점심을 먹고 난 후 ..  먹
다 남은 충무김밥 3 개를 바위에 놓으니

굶주린 까마귀들이 눈 깜박할 사이에 낚아채 감.  <13:48>

 

 

 

 

 

 

 


운암산 정상 지나 전망능선에서 바라본 파노라마  클릭! 

 

 

 

 

 

 

 

 

운암산 정상 지나 전망능선에서 바라본 대아수목원

(화살표는 나중에 우리가 힘들게 오르게 되는 제1전망대) 

 

 

 

 

 

 

 

 

 

 

 

 

 

 

 

 

 

 

 

뒤돌아본 운암산 남릉과 운암산 정상

 

 

 

 

 

 

 

 

 

 

 

 

 

 

 

 

 

 

 

 

진행 방향으로 보이는 591m봉 (계속 진행하여 칠백이고지까지 가면 좋으련만.)

 

 

 

 

 

 

 

 

 

그러나 안부(고도 445m)에서 마음을 비우고 우측 하산길로 내려갑니다. 

 

 

 

 

 

 

 

 

 

 

편안한 절골 하산길 ..

 

 

 

 

 

 

 

 

 

자동차도 올라올 수 있는 넓은 하산길 (후반부) 

 

 

 

 

 

 

 

 

 

날머리 (732번 도로 상)

 

 

 

 

 

 

 

 

 

날머리에서 바라본 팔각정 (제1전망대)

산행이 너무 허무하게 끝나 대아수목원으로 갑니다.

이때만 해도 저 팔각정까지 갈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대아수목원 주차장의 대아수목원 안내판  클릭!

 

 

 

 

 

 

 

 

 

 

 

 

 

 

 

 

 

 

 

 

 

 

 

 

 

 

 

 

 

 

 

올라오다 보니 화수정(花樹亭) 팔각정자까지 올라 왔습니다. 

화수정에서 바라본 운암산(605m)과 591m봉

 

 

 

 

 

 

 

 

 

 

 

 

 

 

 

 

 

 

 

 

 

 

 

 

 

 

 

 

 

 

 

제1 숲속교실, 이곳에서 좌측 능선쪽으로 붙어 진행하다가

나중에는 제1 전망대를 보고 직등하게 되는데 경사 70도의 급경사를 치고

오르느라 뒤늦게 진땀을 흘리게 됩니다. 한마디로 웃기는 부부뚜엣이 아닐수 없습니다.

올라가면서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도대체 이것이 무슨 황당 시츄에이션인가! 하고 말입니다. ㅠㅠ 

 

 

 

 

 

 

 

 

진땀을 흘린 끝에 오른 제1 전망대(고도 360m)에서 바라본 수목원과 운암산 

 

 

 

 

 

 

 

 

 

제1 전망대(고도 360m)에서 바라본 저승바위
 

 

 

 

 

 

 

 

 

이제 정상루트로 내려갑니다.

 

 

 

 

 

 

 

 

 

정상루트는 지그재그 길이라
길은 다소 멀지만 편하디 편한 길입니다.

 

 

 

 

 

 

 

 

임도길에서 바라본 치고 올랐던 급경사 능선 

 

 

 

 

 

 

 

 

 

열대식물원으로 들어 왔습니다. 아내는 음침하다며 들어오길

두려워 했지만 열대식물원 안에는 아름다운 꽃들로 만발합니다.

 

 

 

 

 

 

 

 

 

다튜라 꽃나무 아래에서도 포즈를 취해 봅니다 .. 

 

 

 

 

 

 

 

 

 

수목원내 조각공원의 <작품명 女心>

여체의 시선을 정상향을 향하게 한 것은

현실에 대한 마음 보다는 이상에 대한 마음을 표현함.

모든 분들께서 좋아 하실 것 같아 게재합니다. ^^

 

 

 

 

 

 

 

 

 

들머리까지 픽업해 준 덕유예찬 이백휴님의 고마운 모하비
 

 

 

 

 

 

 

 

 

 

소양면 소재 대통밥1번지에서 ..  



                대아수목원 주차장에서 

               검은색 모하비 승합차 히치에 성공합니다.

               막 출발하는 차를 세워 새재로 가면 좀 태워 달라고 하니

               모하비 주인장은 우리를 쓰윽 한번 쳐다 보더니 두 말 않고 타라고 합니다.

               옆에 남자 한 분과 뒷자석에 여자 한 분이 계셨음에도 불구하고 말입니다. ^^

 

               나중에 알고보니 모하비 주인장은 덕유산만 20년을 타셨고

               ‘덕유예찬’ 이라는 닉을 쓰시는 산악사진작가이셨습니다. 어쩐지.. ^^

               저녁은 화심두부가 생각나 네비에 화심두부를 치니

               소양면 화심두부마을로 인도합니다.

               그런데 네비는 엉뚱하게도 위봉사 쪽으로 인도합니다.

               아무래도 엉터리로 들어선 것 같은데 때마침 보이는

               ‘대통밥1번지’라는 멋진 건물이 눈에 들어옵니다. 

               밍숭밍숭한 두부 대신 대통밥으로 메뉴를 수정합니다.

               제1전망대 오름길의 황당 시츄에이션 덕분일까요?

               대통밥 남김없이 해치웁니다. ^^


 

 

 

 

 

 

 

 

 

 

 

 

               <END>



 

 


    
운암산 정상 지나 전망대에서 바라본 파노라마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