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안나푸르나 [푼힐/베이스캠프] 제6부 (데우랄리~M.B.C~A.B.C)|
데우랄리에서 M.B.C 가는 길 풍경
-네팔 안나푸르나 데우랄리~M.B.C~A.B.C 트랙-
네팔 안나푸르나 [푼힐 베이스캠프]
2015.10.30~2015.11.9 (10박 11일) 혜초여행사
Day-7 11월 5일(목)
데우랄리-M.B.C-A.B.C
-10박 11일 일정- 제1일(금)-인천-카트만두 (투숙) 제2일(토)-카트만두-포카라-나야풀-힐레 (투숙) 제3일(일)-힐레-울레리-반탄티-난게탄티~고레파니 (투숙) 제4일(월)-고레파니-푼힐-데우랄리-반탄티-타다파니~추일레 (투숙) 제5일(화)-추일레-시프롱-구르중-촘롱-시누와 (투숙) 제6일(수)-시누와-밤부-도반-히말라야롯지-데우랄리 (투숙) 제7일(목)-데우랄리-M.B.C-A.B.C (투숙) 제8일(금)-A.B.C-M.B.C-데우랄리-히말라야롯지-도반 (투숙) 제9일(토)-도반-밤부-시누와-촘롱-지누단다 (투숙) 제10일(일)-지누단다-뉴브릿지-큐미-시와이-나야풀-포카라-카트만두 (투숙) 제11일(월)-카트만두-하노이-인천 |
안나푸르나 (Annapurna) 네팔의 히말라야 중부에 있는 연봉(連峰)으로 높이 8,091m 서쪽으로부터 제1봉(8,091m) ·제3봉(7,555m) ·제4봉(7,525m) ·제2봉(7,937m)의 순서로 이어지며, 제3봉의 남쪽에는 마차푸차레(6,997m)의 아름다운 첨봉이 파생되어 있다. 산 이름은 ‘수확의 여신’이라는 뜻으로, 동쪽은 마르얀디 계곡을 사이에 두고 마나슬루산군(山群)과 마주하며 서쪽은 칼리간다크를 사이에 두고 다울라기리와 마주한다. 제1봉은 1950년 6월 3일 프랑스 에르조그 등반대가 처음으로 등정하였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8,000m급의 정복이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후의 히말라야 등산 붐의 출발이었다. 제2봉은 1960년 5월 17일 영국 ·네팔 공동 팀인 로버츠 등반대가 등정하였고, 제3봉은 1961년 인도의 코리 등반대, 제4봉은 55년 5월 30일 독일의 슈타인메츠 등반대가 각각 등정에 성공하였다. [히말라야 8,000m 14좌] 1 에베레스트 (Everest) 8,848 2 케이투(K2) 8,611 3 칸첸중가 (Kānchenjunga) 8,603 4 로체 (Lhotse) 8,516 5 마칼루 (Makalu) 8,463 6 초오유 (Cho Oyu) 8,201 7 다울라기리 1봉 (Dhaulagiri I) 8,167 8 마나슬루 (Manaslu) 8,163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5 10 안나푸르나 1봉 (Annapurna I) 8,091 11 가셔브룸 1봉 (Rgasha Brum I) 8,068 12 브로드피크 (Broad Peak) 8,047 13 시샤팡마 (Shishapangma) 8,0465 14 가셔브룸 2봉 (Rgasha Brum Ⅱ) 8,035 |
[트레킹 5일차 일정]
데우랄리(3,200m)~M.B.C(3,700m)~A.B.C(4,130m) - 오룩스맵 거리는 8.35km 이며 고소가 올 수 있는 고도이기 때문에 가급적 천천히 걸어야 하는 구간이다. 나의 경우는 졸음과 두통이 찾아왔는데 약을 먹지 않고 끝까지 버텼다.
데우랄리~A.B.C 트레킹궤적
08시. 뒤돌아본 데우랄리 드림롯지
주방 쪽은 콘크리트 벽이었으나 1호실과 2호실 사이의 벽은 나무판막이 형태라 옆방의 소리가 다 들렸다. (2호실에는 이중희님 내외가 계셨는데 나의 코고는 소리가 민폐였을 지도) 어젯밤 01시 30분, 02시 30분, 04시에 잠을 깨는 쪽잠을 잔 끝에 05시 40분에 일어났다.
일행이 많다보니 성함을 알기도 쉽지 않다. 카고백을 내 놓으면 슬쩍 슬쩍 도둑질하듯 성함을 적었다. 간편하게 이상혁 가이드에게 물어볼까 하다가 요즘은 하도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는 추세라 물어 보지 못했다. 최성태 님은 직접 물어 성함을 알았다. 샤히에게 2년 전 사망했던 한국인 여인에 대해 자세히 묻기도 했다. 위령탑이 조금 올라가면 있다고 한다.
처음부터 오르막길을 친다.
내려다본 데우랄리 드림롯지
올라오니 눈부신 설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아침 햇살에 빛나는 두 개는 설산은
그래시어돔(Glacier Dome 7,202m) 과 강가푸르나(Gangapurna 7,454m) 다.
08시 16분. 오름길의 히말라야 야생화
고산 지대의 야생화는 보통 키가 낮고 작은데 이곳은 큼직큼직하다.
08시 19분. 오름길의 히말라야 야생화
'꽃다지'와 닮았는데 무척 크다.
08시 22분. 오름길의 히말라야 야생화
엉겅퀴 같은데 징그럽게 크다.
08시 30분. 이제는 물고기 꼬리 모양이 아닌 날카로운 마차푸차레다.
08시 32분. 바지에 치마를 걸친 외국여인의 뒤태가 아름답다. 양학술님 부인이신 정경란님께서 말하기를 "저렇게 입으면 참 따뜻하다"고 그래시어돔과 강가푸르나의 눈부신 설산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진행한다.
마차푸차레 보다 더 뾰족한 첨봉이 마차푸차레를 호위하듯 위용을 뽐내고 있다.
08시 41분. 앞의 외국인 여인도 위 사진의 풍광을 즐기는 듯하다. 인간과 자연이 함께 어우러진 모습도 너무나 아름답지 아니한가!
글래시어돔과 그늘의 노출대비가 크다. 하지만 아무려면 어떠리..
이 사진은 밴드에서 받은 가이드 이상혁군의 사진이다. 글래시어돔도 크게 나오고 일행들의 모습도 잘 보인다.
마차푸차레쪽 보다 상대적으로 눈길이 가지 않는 히운출리쪽 단애
이 사진은 밴드에서 받은 대구 이중희님의 사진이다. 날카로움과 부드러움이 잘 표현되었다. 붉은색 옷을 입은 분이 72세 큰형님 이문수님이다. 70대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셨다.
마차푸차레에서 햇살이 비친다. 그 햇살을 받으며 일행들은 걸어간다..
두 단애가 만나는 하늘이다.
그 하늘아래의 일행들은 한낱 미물 같아 보인다.
깎아지른 단애를 바라보니 현기증이 난다. 아! 정말 아름답다.
만년설이 만들어낸 동굴도 보인다. 자세히 보니 눈위에 흙이 덮인 형태다. 그 크기가 얼마인지는 다음날(7부)에 알 수 있다. 저기서 아내 사진 촬영함.
히운출리쪽 단애 위로 구름이 늠실거린다.
10시 15분. 잠시 쉬었다 간다.
다시 트레킹을 재개하면서, 이 사진을 찍고 있으니 이제홍님이 사진을 찍어 드릴테니 카드를 빼 달라고 한다.
내 카드를 이제홍님 카메라에 넣어 찍은 부부 인증사진이다.
우리 일행 말고도 많은 외국인들도 함께 오르고 있는 M.B.C (마차푸차레 베이스 캠프) 오름길이다.
10시 41분. M.B.C 가 보인다. 저리뵈도 20분은 더 올라가야 만난다.
M.B.C 오름길
뒤돌아본 풍경
M.B.C 오름길
M.B.C 오름길에서 바라본 마차푸차레, 갑자기 구름이 휘감기 사작한다.
마차푸차레가 사라졌다가 나타났다가를 반복한다.
늘 꾸준한 페이스를 유지하신 최성태님 내외가 뒤따라 올라온다.
11시. 마차푸차레 쪽에서 눈바람이 불어와 쌀쌀한 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다. 도착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가이드들이 파인애플차를 대령한다. ^^ 이곳에서 점심을 먹는데 메뉴는 짜장밥, 호박전, 버섯무침, 마늘장아찌에다가 오이무침, 말린 고추잎무침, 배추김치, 깍두기다. 후식으로 사과까지 먹은 후
이상혁 가이드가 가져온 혈중산소 농도/맥박수를 재는 기계로 체크하니 85/88으로 나왔다. (혈중산소 농도는 높을수록 좋은데 80이상 이면 정상이란다. 정경란님은 96이나 나옴.) 하지만 졸음과 두통이 오는 것으로 봐서 아무래도 고소증상 같다.
대구 손여사님은 혈중 산소 농도는 정상인데 맥박수가 높고 (120) 반면 이문수님은 혈중산소 농도가 조금 낮을뿐 맥박수는 정상이다. 점심을 먹고 나니 그 맑던 하늘에 구름이 떼거리로 몰려오기 시작한다. 흐미~ 안나푸르나의 날씨는 오전에는 쾌청 오후는 흐린 적이 많았다.
뒤돌아본 M.B.C
13시부터 싸래기 눈이 내리기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바라본 마차푸차레, 이후는 구름에 가려 볼 수 없었다.
히운출리에도 구름떼들이 몰려왔다.
싸래기 눈이 내리고 있는 A.B.C 오름길
붉은 판쵸의를 입은 이제홍님과 그의 개인 포터 수라즈
이 낙석들은 어디서 굴러왔을까?
밀려오는 구름
2년 전 백산님은 이 길에서 울컥하셨다고 하는데..
A.B.C 표지판에서 인증사진을 찍는 일행들
우리도 여기까지 왔다! 하지만 안나푸르나 베이스 캠프까지는 조금 더 걸어야 한다.
14시 59분. 고 4,130m 의 A.B.C (안나푸르나 베이스 캠프) 에 도착했다.
A.B.C 롯지에서, 눈이 내리니 더욱 즐거운 표정이다.
눈 내리는 장면, 눈발이 점점 거세진다.
따뜻한 마늘수프와 팝콘
A.B.C 롯지는 2인실이 없다. 그래서 대구 이중희님 내외와 함께 썼다. 6호실인데 두 부부가 쓴 방이라 공개는 할 수 없다. 5인실이라 비교적 넓어 침대 두 개씩을 붙이고 남은 하나는 앞쪽으로 이동했다. 가운데에 빨랫줄을 설치하여 빨래를 널어놓으니 자연적으로 격리된 모습이다.
이곳에 오니 많이 춥다. 꽁치김치찌개로 저녁을 먹은 후 (18시~18시 30분.) 뜨거운 물이 담긴 물팩 하나씩을 받은 후 방으로 돌아오니 손여사님이 너무 추위를 타서 내 물팩을 드렸다. 이중희님 것과 합쳐 물팩 3개를 침낭에 넣고 누우시더니 한참 후에야 이제는 괜찮다며 물팩을 돌려주겠다고 하시지만 돌려받지 않았다.
연이틀 씻지도 못하고 양치질만 하고 자리에 누우니
19시 밖에 되지 않았다. 할일도 없어 19시 25분. 자리에 누웠다. 코 고는 것이 제일 걱정이다. 하지만 내 의지대로 안 되니..
그런데 머리가 깨어질듯 아프다. 아이고오~
10박 11일 동안의
네팔 안나푸르나 트레킹
제6부를 정리하면서..